통합검색
 

근현대서울사진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건설개발
  • 근대공원

근대공원

근대 도시 시설의 하나인 공원은 개항 이후 이 땅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공원이라고 알려진 인천의 자유공원은 1888년 각국 조계지 내에 ‘각국공원’이란 이름으로 조성되었다가 1914년부터 ‘서공원(西公園, 이후 만국공원, 자유공원으로 개칭)’으로 불렀다. 또한 1890년 인천의 일본인 거류지 내에 인천신사가 준공되면서 그 주변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일본공원’으로 불렸는데, 1914년 부제가 실시된 후 각국 거류지 및 일본거류민단이 폐지되자 ‘동공원(東公園)’으로 개명되었다.

 

일본인 거류지 내에 신사를 세우고 그 경내를 정비하여 공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었다. 부산의 용두산공원과 대구의 달성공원도 각각 용두산신사(1899년)와 대구신사(1906년)가 세워지면서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한성에서도 이러한 패턴을 따랐다. 1885년 한성조약 이후 일본인 거류지였던 남산 왜성대(예장동) 일대에도 1897년 ‘왜성대공원(화성대공원)’이 조성되었고, 1898년 공원 안에 남산대신궁(후에 경성신사로 개칭)이 설치되었다. 또한 1906년에는 남산 북면의 거류지 주변일대를 경성공원으로 개발했으며, 1910년에는 남산 서북록(회현동) 일대에 ‘한양공원’을 조성하였다. 이후 왜성대공원과 한양공원을 합하여 ‘남산공원’이라 불렸는데, 이 자리에 1925년 조선신궁이 들어섰다. 또한 경성부에서는 1919년부터 남산 동쪽 계곡에 위치한 장충단 지역을 ‘장충단공원’으로 관리하였다.

 

조선인에 의한 주체적인 근대공원 건립도 추진되었는데, 1897년 독립협회에서 옛 영은문과 모화관 터에 독립문과 독립관을 건설하면서 그 주변 일대를 ‘독립공원’으로 조성했으며, 1899년 대한제국 정부에서는 종로 탑골의 원각사 터에 ‘파고다공원’을 세웠다. 탑동공원이라고도 불렸던 파고다공원은 황실공원으로 조성되었으나 1913년부터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페이지 : 1/3] [전체목록 : 30건]

  • 장충단공원 백운루 전경
  • 장충단공원 백운루 전경
  • 사직단공원 전경
  • 사직단공원 전경
  • 장충단공원 벚꽃
  • 장충단공원 벚꽃
  • 남산 앵곡의 벚꽃
  • 남산 앵곡의 벚꽃
  • 파고다공원 팔각정과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 팔각정과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 음악당과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 음악당과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의 원각사비 전경
  • 파고다공원의 원각사비 전경
  • 장충단공원 백운루 전경
  • 장충단공원 백운루 전경
  • 장충단공원과 박문사 일대 전경
  • 장충단공원과 박문사 일대 전경
  • 장충단공원과 박문사 일대의 전경
  • 장충단공원과 박문사 일대의 전경
  • 파고다공원 원각사지 십층석탑
  • 파고다공원 원각사지 십층석탑

사용목적입력 닫기

  • 사용목적입력(구분, 사용목적, 상세목적)
    구분
    단체(기관)명
    사업명
    사용목적
    상세목적
  • ※ 상업적 이용 시 자료 신청 후 별도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로그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