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진천 용몽리농요, 모심는소리1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지역개관 | 진천 용몽리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농요는 <모찌는소리(뭉치세)>,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매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논에 모를 심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후렴) 여기도 호하나 저하 저기도 또 하나
여기저기 심더라도 삼백출 자리로 심어주소 나무라도 고목 되니 오던 새도 아니오고 꽃이라도 낙화되니 오던 벌나비 아니오네 사람도 늙고병드니 오던 친구벗 아니오네 곱고 곱던 비단 옷도 떨어지니 걸레이고 산해진미의 맛좋은 음식도 쉬어지니 구정물이고 이십안쪽 홍안얼굴도 늙어지니 백발이라 오는 백발을 막아보려고 십리밖에다 가시성 쌓으니 백발이 먼저 알고 지름길로 달려오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