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진천 용몽리농요, 모심는소리2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지역개관 | 진천 용몽리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농요는 <모찌는소리(뭉치세)>,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매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논에 모를 심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후렴) 야기도 허 하나 어하 저기도 또 하나
여보시오 동네분들 이 내 말을 들어보소 인간의 생명은 농부이요 금년 농사 하여보세 높은데 가면은 밭이 되고 깊은데 가면은 논이되니 하늘같이 너른 밭에 오곡 잡곡을 심어놓고 생거 진천 너른 들에 여기 저기다 모를 심어 여기~저기 심어논게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금년 농사 풍년하이허 나랏님께 조공 바쳐 만 백성이 배부르니 농사일이 상사로다 천방지축 인승수요 춘만건곤이 복만가라 설악 중턱에 피는 꽃은 호랑나비가 날아들고 꽃을 찾는 벌나비는 향기를 쫓아 날아든다 황금 같은 꾀꼬리는 버들사이로 날아들고 생거 진천 초당 안에 공부하느네 저 처녀야 글공부도 좋거니와 이 내품에 안겨주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