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진천 용몽리농요, (초벌)논매는소리2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지역개관 | 진천 용몽리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농요는 <모찌는소리(뭉치세)>,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매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논을 매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후렴) 어 오허이 예하오 오
어 오허이 예하오 오 만당 같은 내 집 두고 천금 같은 자식을 두고 문전에 옥탑을 타 버리고 열두 군정에 어깨빌어서 만첩 청산에 들어가서 구척의 광중을 깊이파고 칠석으로 다 요를 삼고 액장으로 다 이불 덮으니 살은 썩어서 물이되고 뼈는 삭아서 흙이 되어서 산은 칠백이 흩어지니 어느 친구가 날 찾으랴 일락서산에 지는 해는 지구싶어서 진다더냐 창해유수의 흘러간 물은 다시 흐르기는 어렵거늘 어제 오늘 성한 몸이 저녁 낫을 병이들어 실낫같은 이 내몸에 태산가득 병이 드니 부르느니 어머니요 찾는 곳이 냉수일세 인삼녹용의 약을 쓴들 약효력이 있을손가 판서 불러서 경일군들 경떡인들 있을손가 무녀 불러서 굿을 한들 굿떡이나 있을손가 재미쌀을 싣고 싣어서 명산대천에 걸쳐갈서 하탕에서 목욕하고 중탕에서 관수하고 상탕에서 매를 키워 소지삼장 든 연후에 비나이다 비나이다 칠성님 전에 비나이다 잘 모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