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뜯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진천 용몽리농요, (두벌)논매는소리1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지역개관 | 진천 용몽리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농요는 <모찌는소리(뭉치세)>,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매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두벌 논매기 때 하는 소리이다. 현지에서는 손으로 잡초를 뜯는다 하여 논뜯는소리라 한다. |
가사 | (후렴) 오오올럴 상사데야
오오올럴 상사데야 여보시오 동네분들 이내 말씀 들어를보소 천지지간도 만물 중에 사람 밖에 또 있든가 일월에나 경거한절 태산같이도 바랫거늘 백년광음을 못다하고 놀고지니나 서럽구나 곱고 곱던 비단 옷도 떨어지니 걸레가 되고 이팔청춘 홍단 얼굴 늙어지니 백발이요 영면 중에도 서러운데 무영조차도 늙어가네 장대같이나 굳은 허리 질마가지가 되어 가고 샛별같이나 밝던 눈은 반장일이라 헤얼가네 거울같던 밝은 귀는 절벽 강산이 되어가고 지팡이를 짚었으니 수명 장수 하려는가 묵묵히도 앉었으니 부처님이 드시련가 오는 백발을 막으려고 가지 밭을 세웠으니 백발이나 먼저 알고 지름길로 달려온다 온데 사람은 걷기도 좋게 앞뒤 사람은 보기도 좋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