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뜯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진천 용몽리농요, (두벌)논매는소리2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등 |
지역개관 | 진천 용몽리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농요는 <모찌는소리(뭉치세)>,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매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두벌 논매기 때 하는 소리이다. 현지에서는 손으로 잡초를 뜯는다 하여 논뜯는소리라 한다. 앞소리를 두 마디로 메긴 것이 논매는소리(두벌)1과 다르다. |
가사 | (후렴) 오오올럴 상사데야
여보시오 농군님네 임의 말씀 들어보소 이 농사를 지어 부모님 봉양하고 오랜 자식이 배불리고 나랏님께 조공바쳐서 만 백성을 배불리니 천하지대본은 농사일세 상사 부사가 동부 산데 농사일이 상사로세 천증세월은 인증수요 춘만건곤이 복만가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