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청주 현도두레농요, 모찌는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지역개관 | 현도두레농요는 충북 청원군 현도면의 열네 마을에 전승되어온 농요이다. 이 농요는 1994년 현도농협의 후원으로 조직된 현도풍물단에서 전승 보전하기 시작했고, 2008년 제49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충북 대표로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모판에서 모를 뽑아 묶어내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여보셔 농군님네들 예에에 모찌러가세
(후렴) 뭉치고 정치세 에헤야 이 모자리 뭉치세 뭉치고 정치세 에헤야 이 모자리 뭉치세 여보시오 농군님네 이내 말씀 좀 들어보소 천하니 근본이 농사를 한 춤 두 춤 모아주소 여기도 뜯고 저기 뜯고 세 주먹짜리로 묶어주소 농사 천하지대본이라 이 농사가 제일일세 한 톨 종자를 싹을 틔어 만백성의 식량 되고 천하태평이 좋다 한들 이 모자리만 하겠는가 오곡 백곡이 많다 한들 이 모자리만 못하느니 뭉치고 정치세 에헤야 이 모자리 뭉치세 한 손에는 모춤 들고 또 한 손에는 짚을 들고 다 된 모는 뒤에 두고 에헤야 이 모자리 뭉치세 힘을 내어 뭉쳐내야 해 지기 전에 다 심는다네 우리 농민이 뭉친 모는 올 가을에 풍년 되오 다 되어가네 다 되어가네 이 모자리가 다 되어간다 이 모자리를 얼른 뭉쳐 건너 배므로 넘어가세 일락에 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 동녘에 달이 뜬다 다 치웠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