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청주 현도두레농요, 모심는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지역개관 | 현도두레농요는 충북 청원군 현도면의 열네 마을에 전승되어온 농요이다. 이 농요는 1994년 현도농협의 후원으로 조직된 현도풍물단에서 전승 보전하기 시작했고, 2008년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충북 대표로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논에 모를 심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여보시오 농부님네들 모 심으러 가세
(후렴) 에헤야헤 헤헤여라 상사나디야 에헤야데 헤헤여라 상사나데야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말씀 좀 들어보소 여기 꼽고 저기 꼽고 삼배출 자리로 꽂아주소 천하지대본은 농업인데 농사 밖에 또 있던가 이 농사를 마련할 제 신농군의 취업일세 밭을 갈고 논을 갈어 밭에다는 낙종하고 논에 다는 이종하여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이 농사를 얼른 지어 부모 봉양에 봉헌한 연후에 봉제사 접빈객을 남과 같이 하여보세 다리도 아프고 허리도 아픈데 잠시 잠깐 놀다 가세 놀다가 죽어도 원통한데 밤낮으로 일만 하네 늦어를 가네 늦어가네 점심참이 늦어가네 떴구나 떴네 무엇이 떴나 점심밥 광우리 저기 떴다 다 되어가네 다 되어가네 이 논배미가 다 되어간다 일력에 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 동녘에 달이 뜬다 창해유수 흐르는 물은 다시 오기는 어렵더라 에헤야데 헤헤여라 상사나데야 다 심었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