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청주 현도두레농요, 물품는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지역개관 | 현도두레농요는 충북 청원군 현도면의 열네 마을에 전승되어온 농요이다. 이 농요는 1994년 현도농협의 후원으로 조직된 현도풍물단에서 전승 보전하기 시작했고, 2008년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충북 대표로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논에 물을 퍼넣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여보시오 농군님네들, 모는 심어놨는데 날이 가물어서 물 품으러 가세
(후렴) 에이혀 백금은 초열이라 하나는 둘이요 둘은 서이 너덧이로다 이십은 갓 스물, 스물에 하나 스물에 둘인데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삼십은 백공산, 서른에 하나 서른에 둘인데 품어도 품어도 끝이 없구나 사방이 물 천지라 마흔은 하나 마흔에 둘인데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오십은 반평생 쉰은 하나 쉰에 둘인데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육십은 환갑이라, 예순에 하나 예순에 둘인데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인간은 칠십이라, 일흔에 하나 일흔에 둘인데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조선은 팔도라, 여든에 하나 여든에 둘인데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구름이 춤을 추네 아흔은 하나 아흔에 둘은 서이 너덧이더라 백년은 대길이라. 하나는 둘이여, 둘은 서이 너덧이로다 다 품었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