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초듭매는소리, 상사데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청주 현도두레농요, (초벌)논매는소리2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지역개관 | 현도두레농요는 충북 청원군 현도면의 열네 마을에 전승되어온 농요이다. 이 농요는 1994년 현도농협의 후원으로 조직된 현도풍물단에서 전승 보전하기 시작했고, 2008년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충북 대표로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초벌 논을 매면서 하는 소리이다. 현지에서는 초듭 맨다고 한다. |
가사 | 여보시오 농군님네들 초듭 매러 가세
(후렴) 어하럴럴 상사데야 어하럴럴 상사데야 여보시오 농군님네 이내 말씀 좀 들어나보게 산은 높고 골은 깊은데 상사소리가 처량도 하구나 먼데 사람은 듣기나 좋게 곁에 사람은 보기나 좋게 만승천자의 진시황은 아방궁을 높이 짓고 만리장성을 굳게 쌓고 불사약을 구하려다 동남 동녀 오백인은 먼 곳으로 파견을 하고 장성불사 하려다가 그도 역시 죽었구나 삼천갑자에 동방삭은 명이 짧아서 죽었는가 천하일색 양귀비는 인물이 없어서 죽었는가 초록같은 우리네 농군 아차 한 번 죽어야지면 움이 날까 싹이 날까 가련한 게 인생인데 불쌍한건 농부로다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말씀 좀 들어나보소 다 되어가네 다 되어가네 이 논배미가 다 되어가네 어하럴럴 상사디야 다 됐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