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듭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충북 청주 현도두레농요, (두벌)논매는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종호, 황의서, 김선희 등 |
지역개관 | 현도두레농요는 충북 청원군 현도면의 열네 마을에 전승되어온 농요이다. 이 농요는 1994년 현도농협의 후원으로 조직된 현도풍물단에서 전승 보전하기 시작했고, 2008년 제54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충북 대표로 출전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해설 | 두벌 논을 매면서 하는 소리이다. 현지에서는 이듬맨다고 한다. |
가사 | 여보시오 농군님네들 이듬 매러 가세
(후렴) 잘하고 잘하네 에헤야 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우리야 농부들 잘하네 잘하니께 잘한다지 못하는 걸 잘한다나 저기에 가는 저 아주머니 딸이나 있걸랑 사우 삼소 사위감은 마땅하나 우리 딸이 어려서 못 주겠네 제비는 작어도 강남을 가고 작은 고추가 맵기만 하네 저기에 가는 저 처자야 뒤통수 한 번 둘러봐라 오동지 섣날 서남풍에 사쿠라꽃이 피었구나 농사 농지는 누가 졌나 골 곡자 밑에 별진 자라 일락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 동녘에 달이 솟네 다 되어가네 다 되어가네 이 논배미가 다 되어가네 잘하고 잘하네 얼카 산이로 넘어가네 좌우 첫결은? 우겨를 주고 한불 농부는 소리만 하네 (후렴)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다 되어가네 다 되어가네 이 논배미가 다 되어가네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치 남었구나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지 초생달만 반달이냐 그믐달도 반달이지 (후렴)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얼카 산이야 우야우야 아아 오오 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