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경북 문경 모전들소리, 모심기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김제수, 금명효, 안후준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제수, 금명효, 안후준 등 |
지역개관 | 문경 모전들소리는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 일대에서 전승해온 일련의 농요이다. 2020년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51호로 지정되었다. 모전들소리는 땅을 개간하기 전 산신제를 지내는 <지신밟기소리>로 시작되어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가래질소리>, <논둑다지는소리>, <목도소리> 그리고 벼농사 과정에서 부르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등이 있다. 농요 외에 모전들소리보존회가 부르는 장례요와 다른 노래들도 아울러 녹음하였다. |
해설 | 논에 모를 심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여보게 농군들! 모나 한 번 숨과보세!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 주소 문경아 새자야 물박달낭구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가네 홍두깨 방맹이는 팔자가 좋아 큰애기 손질로 놀아나네 아리랑 춘자가 보리쌀을 씻다가 이도령 피리소리에 오줌을 퍽 쌌네 오줌을 쌌으만 적게나 쌌나 낙동강 칠백 리에 홍수가 다 났네 울 넘어 담 넘어 꼴 베는 총각 이내나 떡이나 받어나주게 자네가 준 요 떡은 꼴짐에다가 숨쿠고 이내나 손목을 덥썩 잡네 손목 놓게 손목 놓게 손목을 좀 놔주게 물같은 요 내 손목에 피가 다 맺히네 손목에 피 맺히는 게 뭐가 그리도 중헌고 생사람 죽어나는 줄 왜 이리도 모르나 저게야 가시는 저 선부요 우리 집 선부는 못 봤는가 자네야 선부가 오신다 해도 칠성판 타고서러 온다고 하네 모 다 숨가간다~ (후렴) 둥아 둥아 두리나 둥아 섭만 젖도록 두리나 둥아 둥아 둥아 두리나 둥아 섭만 젖도록 두리나 둥아 풍년이 왔네 풍년이 왔어 해로야 해마다 풍년이 왔네 우리 농부들은 주야로 없이 일만 하노이 요게도 꼽고 조게도 꼽고 쥔네 속곳 밑에도 꽂아나 주소이 억수야 장마 비 오는 날에도 우비를 입고서러 모 숨그러 가세 바다야같은 이 논배미 반달같이만 남았구나 모시야 적삼 앞섬 안에 분통같은 저 젖 좀 보소 많아야 보면 빙 나겠고 담배씨 만창만 보고나 가소이 모 다 숨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