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경북 문경 모전들소리, 논매는소리2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김제수, 금명효, 안후준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제수, 금명효, 안후준 등 |
지역개관 | 문경 모전들소리는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 일대에서 전승해온 일련의 농요이다. 2020년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었다. 모전들소리는 땅을 개간하기 전 산신제를 지내는 <지신밟기소리>로 시작되어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가래질소리>, <논둑다지는소리>, <목도소리> 그리고 벼농사 과정에서 부르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등이 있다. 농요 외에 모전들소리보존회가 부르는 장례요와 다른 노래들도 아울러 녹음하였다. |
해설 | 논을 매면서 하는 소리이다. 이 곡은 문경 동로면 지역에서 전승되는 논매는소리로서, 상여소리를 하러 온 동로면 출신 소리꾼이 모전들소리와 다른 동로면의 논매는소리가 있다고 하며 소리를 이끌었다. |
가사 | 우리 농군들! 동로 논매는소리 한 번 하세!
(후렴) 실로세 실로세 실로세 실로세 오늘 논둑 찾아들어 실로세 실로세 동쪽에서 떴던 해는 실로세 실로세 대하리를 찾아와서 실로세 실로세 다섯 여섯 품어 나셔 실로세 실로세 이 논자리를 다 매어 실로세 실로세 오늘 해는 품을 안 팔았나 실로세 실로세 언제 질라고 아직까지도 크냐 실로세 실로세 이 집에는 안딕이는 실로세 실로세 밥광티기는 어디로 가고 실로세 실로세 일꾼들에 목소리만 실로세 실로세 목도 말라 배도 고파 실로세 실로세 어제 아래 담은 술은 실로세 실로세 아직까지도 덜 됐는가 실로세 실로세 동권들아 저기를 봐라 실로세 실로세 밥광티기가 저기를 온다 실로세 실로세 온달같은 닷 마지기 논에 실로세 실로세 반달같이 남았구나 실로세 실로세 나가 병골 다 매여서 실로세 실로세 얼렁 매고 참을 먹자 실로세 실로세 동쪽에서 떴던 해는 실로세 실로세 서쪽으로 다 가는구나 실로세 실로세 참 먹으러 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