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두벌매는소리, 미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서울 마들농요, (두벌)논매는소리1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김완수, 박운종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완수, 박운종 등 |
지역개관 | 서울 마들농요는 노원구 상계1동 갈월마을 앞들인 마들에서 부르던 농요이다. 지금은 아파트단지로 변한 마들은 일 년에 뿌리는 볍씨만 해도 9백 석이 넘었다는 너른 들판이었다. 마들농요는 <모심는소리(열소리)>와 호미로 초벌 맬 때의 <논매는소리(두루차)>, 두벌 논매는 소리의 <논매는소리(미나리)> 등이 있다. 그 밖에 <방아타령>, <넬넬넬 상사디야>, <우야 훨훨> 등도 부른다. |
해설 | 두벌 논매기 때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후렴)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이슬아침 나오시라고 모시치마 다 젖었네 모시치마 다 젖었걸랑 거덤 거덤 걷어 안고 영광정에 줄을 매고 동남풍에 말려주소 (후렴)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이슬아침 나오시라고 모시치마 다 젖었네 모시치마 다 젖었거든 거덤 거덤 걷어 안고 영광정에 줄을 매고 동남풍에 말려주소 (다같이) 이슬아침 나오시라고 모시치마 다 젖었네 이에 이에 이에 이에 모시치마 다 젖었거든 거덤 거덤 걷어 안고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영광정에 줄을 매고 동남풍에 말려주소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