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기야당실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서울 마들농요, 저녁노래1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실연자 | 김완수, 박운종 등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완수, 박운종 등 |
지역개관 | 서울 마들농요는 노원구 상계1동 갈월마을 앞들인 마들에서 부르던 농요이다. 지금은 아파트단지로 변한 마들은 일 년에 뿌리는 볍씨만 해도 13백 석이 넘었다는 너른 들판이었다. 마들농요는 <모심는소리(열소리)>와 호미로 초벌 맬 때의 <논매는소리(두루차)>, 두벌 논매는 소리의 <논매는소리(미나리)> 등이 있다. 그 밖에 <방아타령>, <넬넬넬 상사디야>, <우야 훨훨> 등도 부른다. |
해설 | 일을 마치고 귀가하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
가사 | (후렴) 에헤 둥기야당실 둥기야당실 모두 다 두어당실 다 던져버리고 말이 무엇해 네가 내로구나
여다질레 여다질레 동대문을 여다질레 동대문을 열구 보니 팔만 장안이 꽃밭일세 꽃밭 속에 말을 타니 말굽 안에서 상내 나네 말굽 안에 상내 나면 요내 몸에서 몸 상내 나네 마들노래를 불러보세 넓은 들이 갈월들이라 말굽 안에 상내 나면 요네 몸에서 몸 상내 나네 도봉산을 올라보니 망월사가 절경일세 동대문을 열고 보니 팔만 장안이 꽃밭일세 (다 같이 자진가락으로) 마들노래를 불러보세 넓은 들이 갈월들이라 앞을 보니 도봉산이요 뒤를 보니 수락산이라 도봉산을 올라 보니 망월사가 절경일세 동대문을 열고 보니 팔만 장안이 꽃밭일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