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경북 경산 자인계정들소리, 모찌는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입수유형 | 기타 |
---|---|
생산일자 | 20201029 |
생산자(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한국문화정보원, 나라지식정보,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경산시 |
생산지역 상세 | 자인면 계정길 |
언어 | 한국어 |
공공누리 | |
검색어 | 한국문화정보원 , 현지채록 , 모찌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경상북도 , 경북 , 경산시 , 2020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
지역개관 | 경산군 자인면의 들판인 계정들에서 부르던 일련의 농요이다. 1996년에 수집·정리되어 1998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2005년에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자인계정들소리는 한 해 풍년을 비는 <들지신밟기>, 시작하여 산에 나무를 하거나 풀을 베러 갈 때 신세타령으로 하는 <나무꾼신세타령(어사용)>, 둑을 쌓거나 다리를 놓을 때 큰 돌이나 목재를 운반하면서 하는 <목도소리>, 못둑을 다지면서 하는 <가래질소리>, 보를 쌓거나 논둑을 쌓을 때 부르는 <보역사(洑役事)소리>, 모판에서 다 자란 모를 찌면서 하는 <모찌는소리>, 논에 모를 심으면서 하는 <모심는소리>, 논을 매면서 하는 <논매는소리>, 보리타작을 하면서 하는 <보리타작소리>, <방아타령>, 일을 마치고 여럿이 마을로 돌아오면서 부르는 <칭칭이소리>까지 모두 열한 개의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소리를 할 때는 간간히 목나발을 부는데, 이를 띵가라고 한다. |
해설 | 모판에서 모를 뽑아 묶어내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후렴) 조루자 조루자 이 모구자리를 조루자
조루자 조루자 이 모구자리를 조루자 조루자 조루자 이 모구자리를 조루자 새벽 닭이 우는구나 앞집 뒷집 개도 짖네 골목 골목 사람 소리 모집 추려 모구자리로 가자 조루자 조루자 이 모구자리를 조루자 바다와같은 이 모구자리 장기판만큼 남았구나 계정지 넓은 들에 이 모침이 시집가네 조루자 조루자 이 모구자리를 조루자 저루자 저루자 시누이 월깨를 저루자 넘어간다 넘어간다 모심기로 넘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