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경북 경산 자인계정들소리, 보리타작소리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입수유형 | 기타 |
---|---|
생산일자 | 20201029 |
생산자(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한국문화정보원, 나라지식정보,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경산시 |
생산지역 상세 | 자인면 계정길 |
언어 | 한국어 |
공공누리 | |
검색어 | 한국문화정보원 , 현지채록 , 보리타작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경상북도 , 경북 , 경산시 , 2020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
지역개관 | 경산군 자인면의 들판인 계정들에서 부르던 일련의 농요이다. 1996년에 수집·정리되어 1998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2005년에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자인계정들소리는 한 해 풍년을 비는 <들지신밟기>, 시작하여 산에 나무를 하거나 풀을 베러 갈 때 신세타령으로 하는 <나무꾼신세타령(어사용)>, 둑을 쌓거나 다리를 놓을 때 큰 돌이나 목재를 운반하면서 하는 <목도소리>, 못둑을 다지면서 하는 <가래질소리>, 보를 쌓거나 논둑을 쌓을 때 부르는 <보역사(洑役事)소리>, 모판에서 다 자란 모를 찌면서 하는 <모찌는소리>, 논에 모를 심으면서 하는 <모심는소리>, 논을 매면서 하는 <논매는소리>, 보리타작을 하면서 하는 <보리타작소리>, <방아타령>, 일을 마치고 여럿이 마을로 돌아오면서 부르는 <칭칭이소리>까지 모두 열한 개의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소리를 할 때는 간간히 목나발을 부는데, 이를 띵가라고 한다. |
해설 |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후렴) 옹헤야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이 보리가 양반의 보린가 쉬미도 질다 쉬미도 질어 이 보리가 상놈의 보린가 몽글기도 몽글구나 옹헤야 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이 보리가 개구리 보린가 폴짝 뛰네 폴짝 뛰어 이 보리가 쥐새낀가 잘도나 숨네 잘도나 숨어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중참때가 되었구나 꼴대나 밑에 뚝딱 뚝딱 때리고 패라 때리고 패라 히쭉 히쭉 때리고 패라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여보세요 일꾼들아 앞산 넘어 비 들어온다 얼른 얼른 때리고 패라 때리고 패라 히쭉 히쭉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보리타작 디다더니 듣기보다 더 디구나 사람 죽네 사람 죽어 옹헤야 옹헤야 어절시구 잘도나 한다 넘어간다 넘어간다 방아타령 넘어나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