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20년대 |
소장처 | 한국문화정보원 공동소장 |
개요 |
본 자료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이 공동 채록한 전남 화순 내평리길쌈놀이, 하늘에다 베틀 놓고이다. 서울우리소리박물관과 한국문화정보원은 2020 공공저작물 고품질 확충사업 업무협약을 통해 현지채록을 진행하였다. |
입수유형 | 기타 |
---|---|
생산일자 | 20201030 |
생산자(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한국문화정보원, 나라지식정보,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화순군 |
생산지역 상세 | 화순읍 내평리 |
언어 | 한국어 |
공공누리 | |
검색어 | 한국문화정보원 , 현지채록 , 하늘에다베틀놓고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길쌈 , 전라남도 , 전남 , 화순군 , 2020 , 제창 , |
실연방법 | 제창 |
---|---|
지역개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주민들이 무명길쌈을 하면서 부르던 일련의 노래이다. 방직기와 화학섬유가 생겨나면서 사라져가는 생활 풍습인 길쌈을 하면서 흥얼거리던 노래들로, 아낙네들의 심정을 토로하는 시집살이노래와 서사민요, 기타 노래들이 섞여 있다. 내평리 길쌈놀이는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4호로 지정되어 있고, 2026년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
해설 | 베틀에 앉아 베를 짜면서 하는 소리이다. 심심풀이로 부르기도 한다. |
가사 | 하늘에다 베틀 놓고 구름 잡어 잉애 걸고
배틀다리는 네 다리요 요내 다리 두 다리라 잉앳대는 삼형제요 사침대는 형제로다 대추나무 북에다가 참나무 보두집에 덜그덩 덜그덩 짜느랑께 편지 왔네 편지 와 앞문에서 받어 안고 뒷문에서 피어보니 우리 어매 죽었다고 부고 왔네 부고 와 보신 벗어 품에 품고 비네 빼서 땅에 꽂고 머리 풀어 산발하고 신발 벗어 손에 들고 한 모퉁이 돌아강께 까마귀 소리 처량하네 두 모퉁이 돌아강께 널장 소리 가슴 치네 세 모퉁이 돌아강께 생여소리 웬 소린가 사릅문에 설없으니 그저께나 오시던가 어저께나 오시던가 오나마나 오나마나 울어봐도 소용 없고 땅을 쳐도 소용 없네 시집살이 석삼 년에 배가 고파서 못 살겄고 일만 일만 하다 보니 친정 문전 못 가보고 우리 어매 죽었다네 우리 어매 죽었다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