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독떼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릉시 유천동의 논매는소리-오독떼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진석, 이진기, 권영하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소리/김진석, 이진기 뒷소리/권영하 |
지역개관 | 강릉시 유천동은 명주군 경포면 지변리와 유천리가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로 유천리의 죽일, 감나무골, 웃름내, 아랫느름내 등의 자연마을과 지변리는 모솔, 골말, 앞말, 뒷댕골, 하염주골, 개맬골, 벅골 등의 자연마을이 유천동으로 통합되었다. 마을은 대부분이 논이고 밭은 귀하며 논은 오죽헌 옆에 고삿들이 있다.유천동은 명주군 경포면 지변리와 유천리가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로 유천리의 죽일, 감나무골, 웃름내, 아랫느름내 등의 자연마을과 지변리는 모솔, 골말, 앞말, 뒷댕골, 하염주골, 개맬골, 벅골 등의 자연마을이 유천동으로 통합되었다. 마을은 대부분이 논이고 밭은 귀하며 논은 오죽헌 옆에 고삿들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9일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유천동에서 채집된 모찌는소리 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진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찌는소리는 모내기를 하기 위해 모판에서 한 뼘쯤 자란 모를 뽑아 묶어 내면서 하는 소리이다. 사람들이 각자 모를 뽑다가 한 춤이 되면 묶어 내면서 소리를 한다. 한 춤을 묶어 내는 시간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리의 길이도 일정하지가 않고, 다른 사람의 소리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소리를 하기 때문에 소리가 서로 섞이고 맞물린다. 일의 피로를 잊기 위해 노래를 하는 측면도 있으나 그보다는 모찌는 작업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 경쟁을 유도하는 기능이 강하다. 강원도에서 모찌는소리는 삼척을 제외한 영동 지방과 그 주변 지역인 평창, 정선의 일부 지역이며 영서 지방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일제시대에 줄모를 시작하기 이전부터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앞소리 가 : 남문을 열고 파대를1) 치니
뒷소리 : 계명 산천2) 밝아 밝아오 앞소리 나 : 여주여천3) 돌배야 나무4) 배 뒷소리 : 배꽃이 펴어서 만발해 했네 앞소리 가 : 해는 지고 저문 날에 뒷소리 : 어린 선비 울고 울고 가 앞소리 나 : 양근지평을5) 썩 나서니 경 뒷소리 : 경기 바람이 완연하네 (어이쿵!) (“어이! 잘 맨다 김 잘 맨다!”) 앞소리 가 : 노다가 가거라 잠자다 가게 뒷소리 : 저 달이 지도록 노다(어리꿍!) 노다가 가게 앞소리 나 : 해 넘어가네 해 넘어가네 용 뒷소리 : 용선 말게6) 해 넘어 여어에(어이꿍!) 1)파대→파루(罷漏) : 조선 때, 서울에서 오경(五更) 삼 점에 큰 쇠북을 쳐서 야간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일. 2)鷄鳴山川. 새벽닭이 울면 산천이 밝아 온다는 뜻. 3)여주여천 : 지명. 경기도 여주와 이천. 4)돌배나무 :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서 자란 배나무. 5)양근지평 : 경기도의 지명. 6)용선 말게 : 용소골 마루에. 용소골은 명주군 사천면에 있는 골짜기로 강릉에서 보면 해가 지는 쪽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