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릉시 유천동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영하, 정만영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권영하, 정만영 외 |
지역개관 | 강릉시 유천동은 명주군 경포면 지변리와 유천리가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로 유천리의 죽일, 감나무골, 웃름내, 아랫느름내 등의 자연마을과 지변리는 모솔, 골말, 앞말, 뒷댕골, 하염주골, 개맬골, 벅골 등의 자연마을이 유천동으로 통합되었다. 마을은 대부분이 논이고 밭은 귀하며 논은 오죽헌 옆에 고삿들이 있다.유천동은 명주군 경포면 지변리와 유천리가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로 유천리의 죽일, 감나무골, 웃름내, 아랫느름내 등의 자연마을과 지변리는 모솔, 골말, 앞말, 뒷댕골, 하염주골, 개맬골, 벅골 등의 자연마을이 유천동으로 통합되었다. 마을은 대부분이 논이고 밭은 귀하며 논은 오죽헌 옆에 고삿들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9일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유천동에서 채집된 모찌는소리 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진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모찌는소리는 모내기를 하기 위해 모판에서 한 뼘쯤 자란 모를 뽑아 묶어 내면서 하는 소리이다. 사람들이 각자 모를 뽑다가 한 춤이 되면 묶어 내면서 소리를 한다. 한 춤을 묶어 내는 시간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리의 길이도 일정하지가 않고, 다른 사람의 소리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소리를 하기 때문에 소리가 서로 섞이고 맞물린다. 일의 피로를 잊기 위해 노래를 하는 측면도 있으나 그보다는 모찌는 작업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 경쟁을 유도하는 기능이 강하다. 강원도에서 모찌는소리는 삼척을 제외한 영동 지방과 그 주변 지역인 평창, 정선의 일부 지역이며 영서 지방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일제시대에 줄모를 시작하기 이전부터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어 저승길이 멀다더니 대문밖이 저승일세
어 어어 해 넘어간다 어 친구 하나 삼었더니 술만 먹고 잠만 자네 에 어 어어 해 넘어간다 어 만장 같은1) 집을 두고 북망산천 찾어가네 에 어 어어 해 넘어간다 어 어 어어 나비나비 호랑나비 날과 같이 청산가세 어 어 오어 해 넘어가네 어 어 오오 이팔청춘 소년들아 백발보고 웃지마라 어 오 어어 해 넘어가네 어 명사십리2) 해당화야 꽃 진다고 서러마라 어 오 어어 해 넘어가네어 어허어허아 어허허 어허허 어허허 어허허 어이가리요오하 어어하 허허허 허허허 어허허 어허허 어이가리요오하 어허어호하 허허허 허허허 허허허 어허허 어이가리요오하 어허 어허허어허 어허이가리오오 어허 어허허허허 어허이가리오오 어허 어허허허어 어허이가리오오 1)만장같은 : 크고 넓다는 뜻. 2)명사십리(明沙十里) : 함경남도 원산의 약 십리에 걸쳐있는 모래톱. 곱고 부드러운 모래사장과 해당화로 경치가 아름답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