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강달강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현내면 화곡리 버드내의 아이어르는소리-달강 달강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춘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춘재 |
지역개관 | 고성군 현내면 화곡리 버드내는 개울에 버드나무가 많아서 버드내(유천동)라 부른다. 이 마을은 웃말, 중간말, 아랫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35가구에 100여명이 살고 있다. 예전에는 산둣골, 귀둥애박골, 이내방골, 큰독지골, 작은독지골 등의 자연마을에도 사람이 살았으나 모두 떠났으며, 수동면 오싯골(미수복)로 넘어가는 고개 고지기령과 물이 넘어갔다는 무네미들, 산둣골평 등의 들이 있다. 마을에는 전주이씨와 김씨가 오래전부터 집성촌을 이루어 살았다고 하며 지금은 각성바지가 모여서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농경지는 밭보다 논이 더 많고 용넘어 고개 등에 논이 있다. 동제는 지당애박골의 지당개에서 음력 삼월 초사흘에 산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9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화곡리 버드내에서 채집한 아이어르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춘재가 참여하였다. |
가사 | 달강달강 달강달강
서울서 할멈이 참밤 한 되 사온걸 고물락에1) 치뜨렜데이 머리 깎은 새앙쥐가 다 파 먹고 참밤 한톨 냉긴 걸 아범은 깍데기 주구2) 어멈은 고물 주구3) 널과 날과 정살 먹자 달궁달궁 달궁 달궁달궁 달궁 1)고물락에 →고미다락에 : 반자의 한 가지인 고미와 지붕의 안쪽을 일컫는 보꾹 사이의 빈 곳을 고미다락이라 함. 2)깍데기 : 껍질. 3)고물 : 밤의 속껍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