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의 모심는소리-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승복, 오명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승복, 오명환 외 |
지역개관 |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은 마을에 향교가 있어서 교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건봉사를 끼고 있는 마을로 아랫말과 웃말의 자연마을이 있다. 현재 76집에 600여명이 살고 있는데 아랫말에는 토박이가, 웃말에는 외지인이 많다. 마을에는 양근함씨가 가장 먼저 들어왔고, 정선전씨가 배판했다고 하며 지금은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이고 밭보다 논이 많아 논농사 중심이다. 논이 있는 들은 해상평, 우기터(우겨터), 앞버덩, 교동들 등이다. 동제는 동네치성인 서낭제를 정월 초하룻날에 지낸다. 쌀 서되서홉으로 메를 짓고, 서되서홉으로 떡을 하며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쓰다가 최근에는 돼지를 잡았다. 부정을 막기위해 송침을 하며, 제를 지낼 때는 동네사람 소지를 모두 올려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승복, 오명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심어주게 심어주게 심어주게
원앙의 줄모를만 심어주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놀다가 가거라 자다가 가게 저 달이 지두룩만 놀다 가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넘어간다 넘어간다 넘어가네 바다같은 이 논배미 넘어가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가네 세월이 갈라면은 너 혼저 가지 아니 가는 청년들은 왜 델고 가나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가네 산천이 푸르면은 오마더니 백설이 날리어도 아니나 오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가네 오늘의 해두나 거반 갔네 골골이 마두마둠 정자졌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가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