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칭칭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의 칭칭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승복, 오명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승복, 오명환 외 |
지역개관 |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은 마을에 향교가 있어서 교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건봉사를 끼고 있는 마을로 아랫말과 웃말의 자연마을이 있다. 현재 76집에 600여명이 살고 있는데 아랫말에는 토박이가, 웃말에는 외지인이 많다. 마을에는 양근함씨가 가장 먼저 들어왔고, 정선전씨가 배판했다고 하며 지금은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이고 밭보다 논이 많아 논농사 중심이다. 논이 있는 들은 해상평, 우기터(우겨터), 앞버덩, 교동들 등이다. 동제는 동네치성인 서낭제를 정월 초하룻날에 지낸다. 쌀 서되서홉으로 메를 짓고, 서되서홉으로 떡을 하며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쓰다가 최근에는 돼지를 잡았다. 부정을 막기위해 송침을 하며, 제를 지낼 때는 동네사람 소지를 모두 올려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에서 채집한 칭칭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승복, 오명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칭칭이소리는 많은 사람이 모여서 놀다가 헤어질 때 마무리 하며 부르는 노래로 모두 일어 서서 손을 잡고 빙글빙글 돌며 춤을 추거나 손뼉을 치면서 부른다고 한다. |
가사 | 칭이나 칭칭나네
칭이나 칭칭나네 노자 노자 젊어노세 칭이나 칭칭나네 늙어 병 나면 못 놀겠네 칭이나 칭칭나네 하늘을 보니 별두 많소 칭이나 칭칭나네 내레다 보니야 그리도1) 많소 칭이나 칭칭나네 잰솔밭에는2) 옹이두 많소 칭이나 칭칭나네 왕대밭에 그리도 많소3) 칭이나 칭칭나네 시가 문전에 말두 많소 칭이나 칭칭나네 한살 먹어서 어머니 잃고 칭이나 칭칭나네 두살 먹어 아버지 잃고 칭이나 칭칭나네 세살 먹어서 삼춘을 찾었네 칭이나 칭칭나네 삼춘이라고 찾었더니 칭이나 칭칭나네 삼년 묵은 곱보리밥에다4) 칭이나 칭칭나네 삼년 묵은 씨래기국에5) 칭이나 칭칭나네 이럭저럭 십팔세 되었네 칭이나 칭칭나네 십구세에 시집을 가서 칭이나 칭칭나네 십구세에 과수가6) 됐네 칭이나 칭칭나네 머리 풀어 산발하고 칭이나 칭칭나네 비네7) 빼서 땅에다 꽂고 칭이나 칭칭나네 댕기 풀어 낭게8) 걸고 칭이나 칭칭나네 상두꾼아9) 발 맞춰라 칭이나 칭칭나네 한 모램이를10) 돌아가니 칭이나 칭칭나네 행상소리가11) 귀에 쟁쟁 칭이나 칭칭나네 저승길로 찾어 가네 칭이나 칭칭나네 열두 대문을 열구 가니 칭이나 칭칭나네 재판관이 하는 말씀이 칭이나 칭칭나네 너 올 때는 안직 멀었는데 칭이나 칭칭나네 배삐 가라 빨리 가거라 칭이나 칭칭나네 오던 길을 왔거니와 칭이나 칭칭나네 가는 길을 몰라서요 칭이나 칭칭나네 이 가아지12) 한마리 줄거니야 칭이나 칭칭나네 그 가아지만 따러 가거라 칭이나 칭칭나네 그 가아지를 따러 오다 칭이나 칭칭나네 한강수야 깊은 물인데 칭이나 칭칭나네 외나무다리 건널 적에 칭이나 칭칭나네 그 가아지가 물에 풍덩 빠졌네 칭이나 칭칭나네 깜짝 놀래니 꿈이더냐 칭이나 칭칭나네 꿈이더냐 생실러냐 칭이나 칭칭나네 깜작 깨니 꿈이로다 칭이나 칭칭나네 치나 칭칭나네 칭이나 칭칭나네 1)그리→그루터기. 2)잰솔밭→잔솔밭:어린 소나무가 많은 곳. 3)보통은 왕대밭에는 마디(매두, 매디)도 많다라고 많이 부른다. 4)곱보리밥→꽁보리밥 : (쌀을 전연 섞지 않고) 보리로만 지은 밥. 곱삶이. 5)씨래기국→시래기국 : 말린 무잎이나 배춧잎으로 끓인 국. 6)과수→과부. 7)비네→비녀. 8)낭게→나무에. 9)상두꾼 : 행상(行喪) 때 상여를 메는 사람. 상여꾼. 10)모랭이→모퉁이. 11)행상소리 : 상여를 메고 가면서 하는소리. 상여소리. 만가(輓歌). 12)가아지→강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