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랑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의 어랑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환, 임항식, 최승복, 오명환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영환, 나/임향식, 다/최승복, 라/오명환 |
지역개관 |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은 마을에 향교가 있어서 교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건봉사를 끼고 있는 마을로 아랫말과 웃말의 자연마을이 있다. 현재 76집에 600여명이 살고 있는데 아랫말에는 토박이가, 웃말에는 외지인이 많다. 마을에는 양근함씨가 가장 먼저 들어왔고, 정선전씨가 배판했다고 하며 지금은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이고 밭보다 논이 많아 논농사 중심이다. 논이 있는 들은 해상평, 우기터(우겨터), 앞버덩, 교동들 등이다. 동제는 동네치성인 서낭제를 정월 초하룻날에 지낸다. 쌀 서되서홉으로 메를 짓고, 서되서홉으로 떡을 하며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쓰다가 최근에는 돼지를 잡았다. 부정을 막기위해 송침을 하며, 제를 지낼 때는 동네사람 소지를 모두 올려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에서 채집한 어랑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환, 임항식, 최승복, 오명환이 참여하였다. |
가사 | 다: 어허 간다네 간다네 나는 돌아간다 / 꽃같은 너를 두고 나는 돌아가네 / 어랑 어랑 어허야 허어야 좋네 시절이 젊어 노세
나: 시월아 봄 한 철 오고가지를 마라 / 우리나 인생 다 늙어만 간다 / 어랑 어랑 어허야 어허야 좋네 업구 지구 노자 가: 헤 웅굴 안에 고기는 꼬리만 톡톡 치구요 / 웅굴 배깥에 큰아기 바가지 장단만 친다네 / 어랑 어랑 어허야 어허야 지어라 시절이 젊어 놉시다 다: 어허 솔개 한 마리 두둥실 병아리 간 곶이 없고 / 기차 전차가 떠나자 정든 님 간 곶이 없구나 / 어랑 어랑 어허야 허어야 좋네 시절이 젊어 노세 나: 산수갑산에 다랑측은야1) 얼그러 설그러졌는데 / 허과 나허과 한 이불 속에서 놀자 / 어랑 어랑 어허야 어허야 좋네 사랑 사랑이로구나 가: 에헤 국화꽃이 고워도 춘추돈절이고2) / 당신 얼굴이가 고워도 이십살 미만이로구나 / 어랑 어랑 어허야 어허야 디어라 시절이 젊어 놉시다 다: 어허 가자는 사람도 열스이 죽자는 사람도 열스이 살자는 사람두 열스이 / 일삼은 삼이요 삼삼은야 군데 서른아홉놈 총중에 어는 정칠 놈 따라가나 / 어랑 어랑 어허야 허어야 좋네 시절이 젊어 노세 1)다랑측→드렁칡: 둔덕을 따라 뻗은 칡덩굴. 2)춘추돈절(春秋頓絶)? 한 때 피고 만다는 뜻 * 김영환(남, 1924) : 현재 교동리에 살고 있으며 풍물패에서 꽹과리를 친다. 밭가는소리, 창부타령, 둥그레타령 등을 불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