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항식, 최승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임향식, 최승복 외 |
지역개관 |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은 마을에 향교가 있어서 교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건봉사를 끼고 있는 마을로 아랫말과 웃말의 자연마을이 있다. 현재 76집에 600여명이 살고 있는데 아랫말에는 토박이가, 웃말에는 외지인이 많다. 마을에는 양근함씨가 가장 먼저 들어왔고, 정선전씨가 배판했다고 하며 지금은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이고 밭보다 논이 많아 논농사 중심이다. 논이 있는 들은 해상평, 우기터(우겨터), 앞버덩, 교동들 등이다. 동제는 동네치성인 서낭제를 정월 초하룻날에 지낸다. 쌀 서되서홉으로 메를 짓고, 서되서홉으로 떡을 하며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쓰다가 최근에는 돼지를 잡았다. 부정을 막기위해 송침을 하며, 제를 지낼 때는 동네사람 소지를 모두 올려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교둉라 향교말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항식, 최승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앞의 소리는 상여가 집을 떠날 때 하는 하직소리이고 뒤의 소리는 길을 가면서 하는 행상소리이다. |
가사 | 아 가십시다 이 문전을 하직을 하고 가옵니다
아 오어 어티게 가시는고 어티게 가시나 이 문전을 하직을 하고 어티게 이 문전을 떠나가십니까 아 오어 어티게 가오 어티게 가오 동중제절을1) 이별을 하고 나는 어티게 갑니까 아 어어 하늘이 높다구 하지만은 삼사오경에2) 이실만 주는구나 아 어어 북행질이3) 머다고 하지만은 사신행차가 왕래만 하는구나 아 오어 이승길은 얼매나 멀게 한 번 가신 우리 인생 다시 오기를 못하는구나 아 어어 허호 어허호 어이넘차 어허호 어호 허허호 어이넘차 어호 어티게 가나 어티게 가나 심산험로를 어티게 가나 어호 허허호 어이넘차 어호 시월 봄 한 철 가지를 마라 우리 인생 다 늙어간다 어호 허허호 어이넘차 어호 이리 가고 저리 갈 제 갈지자로 구비구비 돌아가세 어호 허허호 어이넘차 어호 앞구잽이4) 댕게주고 뒷구잽이는 밀어를 주오 어호 허허호 어이넘차 어호 1)洞中諸節 : 동네 어른들. 2)삼사오경 : 밤 11시부터 새벽 5시. 3)북행질 : 북쪽으로 가는 길. 4)앞구잽이 : 상여를 멘 사람들을 반으로 나뉘어 앞쪽에서 멘 사람. 이 곳에서는 상여를 보통 열두 명에서 열여섯 명 정도가 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