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간성읍 노인회관의 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남계자, 최동매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남계자, 나/최동매 |
지역개관 |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향교말은 강원도 동북단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동해안에 면하고 서쪽은 인제군, 남쪽은 속초시 북쪽은 통천군에 접하며 군 전체의 모양은 남북이 긴 장방형이다. 1945년 광복 당시 고성군은 고성읍·장전읍·거진면·수동면·외금강면·서면·현내면·간성면 등 2읍 6면이었다. 그러나 이후에 38선을 경계로 국토가 분단되었을 때 북한에 속하였으며, 6·25동란 때 국군에 의하여 군의 일부지역이 수복되었고, 1954년 10월<수복지구행정구역임시조치법>에 의해 간성·거진·현내·수동 등 4개면을 신설하고 고성군 관할로 하였다. 군의 총면적은 622.09㎢이고, 1995년말 현재 11,708가구에 인구는 39,015명이며 이 중에서 농업가구는 3,217 가구, 어업가구는 1,716 가구이다. 행정구역은 2읍 4면 125리 544반 144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군청소재지는 간성읍 하리이다. 원래의 고성군은 6·25동란이후 52%는 남쪽에 48%는 북쪽으로 나뉘어졌다. 고성읍, 장전읍, 외금강면, 수면이 북쪽에 있다.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특히 심했던 지역으로 토박이는 아야진에 비교적 많을 뿐 모두 수복후에 새로 들어온 사람들이며, 거진에는 함경도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군은 1996년 엄청난 산불로 인하여 산쪽으로 위치한 전통마을 죽왕면 삼포리를 비롯해 몇 개의 마을이 손실되었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마을들은 어씨 집성촌인 삼포리를 포함해 군에서는 드물게 남아있던 집성촌이었으며, 200여년 이상된 전통가옥들과 고유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던 마을들이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노인회관에서 채집한 자진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남계자, 최동매가 참여하였다. 여럿이 삼 삼으러 다닐 때 차례차례 돌아가며 불렀던 소리라고 한다. |
가사 |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가네(어디가 시구 절려 아라린가)
나: 세월이 가기는 물결과 같고 / 우리 인생 늙기는 바람결같네 가: 못 살겠네 못 살겠네 못 살겠네 / 시집살이 높어서 못 살겠네 나: 우수나 경첩엔 강 풀려지고 / 정든님 연설엔 맘 풀려지네 가: 우리야 형님이 영악도 하지 / 어제 아침에 때리더이만 또 때리네 나: 갈라면 갈라면 진작 가지 / 깊은 정 딜에 놓고 왜 떠나가나 가: 무정한 자동차 날 실어 놓고 / 한고향 생길 줄을1) 왜 몰르나 나: 정든 님 오시는데 인사를 못해 / 행지초마 입에 물고 입만 방긋 가: 놉시다 놉시다 젊어서 노세 / 늙구야 병드니 못 놀겠네 나: 우리가 살면은 백년을 사나 / 아니 놀고 아니 먹고 뭘 할손가 1)한고향 생길 줄을→환고향(還故鄕) 시킬 줄을: 고향으로 돌려보낼 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