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칭칭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간성읍 동호리 아랫갈벌의 칭칭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남월성 외 동네 아낙네들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남월성 뒤/동네 아낙네들 |
지역개관 | 고성군 간성읍 동호리 아랫갈벌은 동호리는 일제시대 때 선유리, 용포리를 병합하여, 이곳에 있는 용호(龍湖)가 간성 동쪽에 있다고 동호(東湖)리가 된 마을이다. 마을에는 갈밭이 있었다는 웃갈벌(선유리), 아랫갈벌(용포리) 등의 자연마을과 밭무논(바깥쪽에 있는 들), 안무논(안쪽에 있는 들. 밭무논, 안무논 모두 논에 물이 많아서 가물을 타지 않는 논이 많다고 한다), 새냇들, 염전드루(예전에 염전을 하던 곳의 들) 등의 들이 있다. 그리고 바다와 인접하고 있어서 예전에는 후리질을 많이 했으며 특히 양미리가 많이 잡혔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9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동호리 아랫갯벌에서 채집한 칭칭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남월성 외 동네 아낙네들이 참여하였다. 놀다가 헤어질 때 일어서서 빙글빙글 돌아가며 불렀다. 가창자는 열일곱 무렵부터 여자 어른들과 어울려 부르며 익혔다고 한다. |
가사 | 칭이야 칭칭나네
칭이야 칭칭나네 한 살 먹어서 어미를 잃었네 칭이야 칭칭나네 두 살 먹어서 아버이 죽었네 칭이야 칭칭나네 시 살 먹어서 작은아버이 한테 칭이나 칭칭나네 날 밥이라구나 준다는 것이야 칭이나 칭칭나네 접시굽에다1) 날 밥을 준다 칭이나 칭칭나네 간이라고2) 준다는 것이야 칭이나 칭칭나네 절가지짝에다 집어준다 칭이나 칭칭나네 아이구 내팔자야 내신세야 칭이나 칭칭나네 내가 살아서 무엇하겠나 칭이나 칭칭나네 한강수물에 빠져 죽어 칭이나 칭칭나네 고기밥되구나 말아보자 칭이나 칭칭나네 배를 모아라 배를 모아 칭이나 칭칭나네 죄끄마하게나 배를 모아서 칭이나 칭칭나네 짚으네 한강수다가 띄워 놓고 칭이나 칭칭나네 술렁술렁도 잘은 간다 칭이나 칭칭나네 1)접시굽 : 접시의 밑에 바닥에 닿는 부분. 2)간 : 일반적으로 음식의 짠 맛을 내는데 쓰이는 재료를 말하나 여기서는 반찬을 뜻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