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장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토성면 백촌리 잣골의 자장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순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순희 |
지역개관 | 백촌리는 고려말 김씨가 처음으로 들어와서 마을을 개척할 당시 바닷물이 마을어귀 까지 들어와서 마치 바다에 떠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상이라 불렀던 마을이다. 이후에 잣나무가 많다고 잣골인 백촌리가 되었다. 옛날에 만호첨사(萬戶僉使)가 있었으며 이 때의 동문터, 서문터, 성이 있던 토성자리 등 만호첨사터가 있다. 마을 뒤로는 금개울(금천)이 있고, 산은 서낭산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11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백촌리 잣골에서 채집한 자장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순희가 참여하였다. 다른 지역의 자장가에서는 보이지 않는 대추와 꽂감이 등장한다. 대추와 꽂감은 밤과 함께 삼실과라 하여 유교식 제사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음식이다. |
가사 | 자장 자장 자장 자장
워리 자장 구야 자장 머리잠두 내러오너라 눈에 잠두 내러오너라 우리 아기 잘도 잔다 워리 자장 자장 자장 음을1) 주면 너를 사까 금을 주면 너를 사까 인적같은2) 젖을 물구 한짝 손에 대추 들구 한짝 손에 꽂감 들구 자장 자장 자장 자장 우리 아기 잘도 자네 1)음→은. 2)인적같은→연적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