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알개 두알개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숫자세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군 토성면 봉포리의 한알개 두알개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서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황서순 |
지역개관 | 고성군은 강원도 동북단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동해안에 면하고 서쪽은 인제군, 남쪽은 속초시 북쪽은 통천군에 접하며 군 전체의 모양은 남북이 긴 장방형이다. 1945년 광복 당시 고성군은 고성읍·장전읍·거진면·수동면·외금강면·서면·현내면·간성면 등 2읍 6면이었다. 그러나 이후에 38선을 경계로 국토가 분단되었을 때 북한에 속하였으며, 6·25동란 때 국군에 의하여 군의 일부지역이 수복되었고, 1954년 10월<수복지구행정구역임시조치법>에 의해 간성·거진·현내·수동 등 4개면을 신설하고 고성군 관할로 하였다. 군의 총면적은 622.09㎢이고, 1995년말 현재 11,708가구에 인구는 39,015명이며 이 중에서 농업가구는 3,217 가구, 어업가구는 1,716 가구이다. 행정구역은 2읍 4면 125리 544반 144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고, 군청소재지는 간성읍 하리이다. 원래의 고성군은 6·25동란이후 52%는 남쪽에 48%는 북쪽으로 나뉘어졌다. 고성읍, 장전읍, 외금강면, 수면이 북쪽에 있다.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특히 심했던 지역으로 토박이는 아야진에 비교적 많을 뿐 모두 수복후에 새로 들어온 사람들이며, 거진에는 함경도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군은 1996년 엄청난 산불로 인하여 산쪽으로 위치한 전통마을 죽왕면 삼포리를 비롯해 몇 개의 마을이 손실되었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마을들은 어씨 집성촌인 삼포리를 포함해 군에서는 드물게 남아있던 집성촌이었으며, 200여년 이상된 전통가옥들과 고유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던 마을들이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1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봉포리에서 채집한 한알개 두알개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서순이 참여하였다. 두 사람 이상이 서로 마주앉아 다리를 서로 엇갈려 끼우고 다리 숫자를 세기 시작해 노래가 끝났을 때 해당되는 다리를 빼는 식으로 놀이를 계속하다가, 마지막에 다리 하나가 남으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되는 놀이를 하면서 하는 노래이다. 지역에 따라 노랫말 유형이 다르고 가창자에 따라서도 조금씩 달라진다.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가 가장 많고 한다리 두다리 또는 한거리 두거리, 한알개 두알개 또는 한알대 두알대, 그 밖에 한네 만네, 꽁꽁 꽁서방,앵기 땡기 등도 있다. |
가사 | 한알개 두알개
삼사 났다 은동고리1) 팔때 장군 고드래 똥 한알개 두알개 삼사 났다 은동고리 팔때 장군 고드래 똥 한알개 두알개 삼사 났다 은동고리 팔때 장군 고드래 똥 1)은동고리 : 은을 물린 동거리. 은목감이(담배 물부리 따위의 목을 은으로 감은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