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물 당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사천면 사천진리의 그물당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학철, 김종순, 강학렬, 전만천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학철, 뒤/김종순, 강학철, 전만천 |
지역개관 | 사천진리는 어촌으로 형성된 1리와 농촌으로 형성된 2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171가구에 530여 명이 살고 있고 이중에서 50여 가구가 어업가구이다. 마을은 애일당리, 행갯들, 건너불, 뒷섬, 손마지를 합하여 사천진리가 되었으며 어촌인 사천진1리는 앞불(건넌불, 앞섬), 뒷불(뒷섬)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앞불은 바다를 끼고 있고, 마을, 뒤로 냇물이 흘러 섬처럼 되어있으며 냇물의 건너 쪽이 되어서 건넌불이라고도 한다. 현재 마을에는 45척 정도의 배가 있으며 5톤 이상은 5척, 3-4톤 정도가 20여 척이고 나머지는 소형어선이다. 동제는 마을에 숫서낭과 암서낭이 있어 해마다 봄, 가을로 지내고 있으며 마을굿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9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사천면 사천진리에서 채집한 그물당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학철, 김종순, 강학렬, 전만천이 참여하였다. 목선을 타고 유자망으로 명태잡이를 할 때 그물을 당기며 불렀던 소리이다. 명태잡이는 양력 10월에서 다음 해 2월까지 이루어지며, 명태 말고 청어도 많이 잡았다. 명태잡이 배는 일곱, 여덟 명이 타는 배로, 노가 앞쪽에 두 개, 옆에 두 개,, 뒤에 사공이 잡는 노 하나가 있었다. 이 마을서는 예전에는 명태잡이 배가 30여 척이나 있었다고 한다. 요즘은 명태는 잡히지 않고 양미리가 많이 잡힌다. |
가사 | (후렴) 예야
예야 / 예야 / 예야 땡게 주게 / 땡게 주게 / 예야 동에 동서 / 돋은 해는 일락서산을 / 넘어간다 예야 / 예야 예야 / 예야 홍성나기 / 찬바람에1) 울구 가는 / 저 기러기도 / 에야 손발이 시러워 / 내 못하겠네 에야 / 에야 청실홍실을 / 목에 걸고 소나무 고개를 / 넘어온다2) / 에야 잘도 걸었구나 / 에야 땡게 주게 / 땡게 주게 / 에야 어떤 사람은 / 팔자가 좋아 과대공실3) / 높은 집에 / 에야 붕이영화로4) / 잘도 사는데 예야 / 예야 우리 팔자는 / 무신 팔자가 예야 / 예야 / 예야 이놈으 종사가 / 웬말이요 예야 / 예야 땡게 주게 / 땡게 주게 얼른얼른 / 땡게 주게 예야 / 예야 얼씨구나 좋다 / 기화자 좋구나 예야 / 예야 돈 벌어 가주구야 / 고향 가야지 예야 / 에야 / 예야 1)홍성나기 : 바람이름. 겨울에 중국쪽에서 불어오는, 아주 매섭고 차가운 바람이 있다고 함. 2)청실홍실을 목에 걸고 소나무고개를 넘어온다 : 배에서 그물을 당길 때 좀더 쉽게 올라오도록 소나무를 잘라서 만든 장치 망깨라는 것이 있는데 이 것이 굴러가면 고기가 든 그물이 쉽게 배로 올라온다고 한다. 여기서는 이 소나무가 굴러가면서, 뒤따라 올라오는 그물을 두고 표현한 것. 3)과대공실→고대광실(高臺廣室). 4)붕이영화→부귀영화(富貴榮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