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사천면 덕실리 덕실골의 모심는소리-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원석, 권영식, 권영삼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가/이원석, 앞나/권영식, 뒤/권영삼 외 |
지역개관 | 명주군 사천면 덕실리 덕실골은 덕실리 덕장산 밑에 있는 마을로 버덩말, 새잇말, 앳결, 잰말, 양지말, 중간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예전부터 강릉 박씨와 강릉 최씨가 많이 살았으나 지금은 각성바지이다. 사천면 소재지와 인접하고 있는 이 마을은 현재 111가구에 404명의 인구가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인근의 다른 마을보다 논이 많다고 하는데 농경지는 논이 90㏊, 밭이 70㏊ 정도로 논이 조금 더 많으며 경지정리가 잘 되어 있고, 밭에는 감자, 콩 이외에 오이, 고추 등의 특용작물을 재배한다. 또한 한우를 많이 기르고 있으며 비교적 넉넉한 마을로 국회의원이나 면장 등이 많이 났다고 한다. 지금은 강릉과 가까운 도시 주변지역으로 작은 공장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해마다 서낭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사천면 덕실리 덕실골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원석, 권역식, 권영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앞가 : 심어주게 심어주게 심어주게
오종종 줄모루1) 심어주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가 : 해는야 지구선 저문 날에 어리네 선부가2) 울고 가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나 : 넘어가네 넘어가네 바다같은 요 논자리 넘어가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가 : 만나보세 만나보세 만나보세 아주까리 정자로3) 만나보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나 : 아주까리 정자루 못 만내면 신배나무4) 정자루 만내나 보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나 : 날 다려 가거라 날 모셔가게 한량에 낭군이 날 다려가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가 : 술은야 매일장추5) 잡숫더래도 요내몸 하나는 허탄이 마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나 :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게 동지슫달 꽃 본듯이 날 좀 보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가 : 청초매 밑에다가 소주병 달고 오동나무 정자루 임 찾어가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나 : 요놈으 총각아 뭣 하러 왔나 숫돌이 좋아서 낫 갈러 왔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앞나 : 요놈으 색시야 뭣 하러 왔나 맷돌이 좋아서 풀6) 갈러 왔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1)오종종 줄모 : 모를 심을 때 못줄을 대지않고 마구 심되 줄을 맞추어서 심는 것. 2)어리네 선부 : 어린 선비. 3)아주까리 정자 : 아주까리 나무가 커서 정자를 이룬 것. 아주까리는 피마자라고도 하며 열매로 기름을 짜서 등잔기름이나 머릿기름으로 썼다. 4)신배나무→돌배나무. 5)매일장추 : 완월장취(玩月長醉)의 와전? 전남농요 논매는소리(나주, 무안, 함평)와 무상삼장 가사에 나옴. “동각에 설중매 다리고 완월장취 놀아보세”. 또는 날마다 끊임없이의 뜻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음. 6)풀 : 쌀풀을 쑤기 위해 멧돌에 쌀을 가는 것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