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의 모심는소리-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동기달, 최찬덕, 조규은, 윤흥용, 최상영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가/동기달, 앞나/최찬덕, 앞다/조규은, 앞라/윤흥용, 앞마/최상영 |
지역개관 | 학산리는 설래, 재곡말, 새림말, 문구니골, 옥봉, 미룩굼(미륵이 있었다), 샘모텡이, 뒷골, 바랑골, 왕고개, 동대골, 서지골, 영장평학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산은 매봉산, 만덕봉(마을앞), 갈미봉, 어삼밭골이 있고, 물은 큰골에서 흘러 설래골에서 합수가 되며 칠성골 섬석천(학산하류)으로 해서 동해로 유입한다. 현재 300여 집(2리 200호, 1리 100호)이 살고 있으며 평해 황씨, 연일 정씨, 창영 조씨, 풍양 조씨가 많다. 주민의 생업은 농업이며, 경작지는 논 70%, 밭 30%로 논이 많고, 밭에는 토마토를 재배한다. 논이 있는 들은 앞뚜루, 뒷뚜루, 서지뚜루, 둔지평(넓다), 부모골, 저고리골, 금강평(10리안의 학산리, 어단리, 금강리가 다 속함) 등이다. 이 마을은 명주군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된 지역이며, 강릉의 수호신인 대관령국사서낭 범일국사가 탄생했고, 신라시대의 5교 9산의 하나인 굴산사가 있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좋은 곳이라 하여 생어모학산(生於茅學山)이라는 말이 전해온다. 동제는 정월 초정일에 고청제사를 지내며 서낭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신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동기달, 최찬덕, 조규은, 윤흥용, 최상영이 참여하였다. 앞소리는 서로 돌아가며 메기고 뒷소리는 모두 함께 받는다. 자진아라리를 부르면 모심는 손이 빨라진다고 한다. |
가사 | (후렴) 아리아리 아리아리 아라리요
아라리 고개로 넘어간다 가 : 심어주게 심어주게 심어주게 / 원앙에 줄모를1) 심어주게 나 : 원앙에 줄모를 못 심으거든 / 오종종 줄모를 심어주게 다 : 바다같으네 요논배미 / 장기야쪽이야2) 다되었네 라 : 술은야 술술이 잘 넘어가고 / 찬물에 얼음냉수 중치가 미네 마 : 일강릉 이춘천 삼원준데 / 살기야 좋기는 모학산일세3) 가 : 남대천 물이야 술같구 보면 / 어느네 친구를 못 사구리 나 : 이 논배미에 모를 심어 / 장잎이4) 너울너울 영화로다 다 : 안곡절5) 중놈에 세모시 고깔 / 정방에6) 처녀의 솜씨로다7) 라 : 머리가 좋구선 몸 실한 처녀 / 줄뼝야 낭게에8) 걸어 앉았네9) 마 : 점심에 때를야 모르거든 / 갓을야 쓰구서 숙여나 보게 1)원앙에 줄모 : 줄을 대고 심는 것. 줄을 대지 않고 심는 것은 오종종 줄모. 줄을 대고 모를 심었던 것은 일제시대 때부터이다. 2)장기야쪽이야 : 장기쪽이. 모를 거의 다 심어 논이 조금밖에 남지 않았다는 뜻. 3)모학산 : 명주군의 지명으로 모산과 학산을 말함. 4)장잎 : 벼(보리, 밀 따위의)이삭이 피기 직전에 나오는 마지막 잎. 5)안곡절 : 안곡 마을에 있는 절. 6)정방 : 지금의 강릉시 홍제동으로 여서낭의 생가가 있는 곳이다. 7)이 사설은 대관령 국사서낭과 여서낭에 관련된 설화를 소재로 하고 있다. 설화에서 국사서낭인 범일국사는 이 곳 학산 출신이고, 여서낭은 홍제동의 정씨 집 딸로 되어 있다. 8)줄뼝야 낭게야 : 줄뽕나무에. 9)처녀들이 뽕을 따기 위해 줄뽕나무에 걸터 앉아 있는 모습이 보기 좋아서 사설이 된 것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