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독떼기, 잡가, 사리랑, 담성가, 싸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동기달,최상영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가/동기달, 앞나/최상영 외 |
지역개관 | 학산리는 설래, 재곡말, 새림말, 문구니골, 옥봉, 미룩굼(미륵이 있었다), 샘모텡이, 뒷골, 바랑골, 왕고개, 동대골, 서지골, 영장평학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산은 매봉산, 만덕봉(마을앞), 갈미봉, 어삼밭골이 있고, 물은 큰골에서 흘러 설래골에서 합수가 되며 칠성골 섬석천(학산하류)으로 해서 동해로 유입한다. 현재 300여 집(2리 200호, 1리 100호)이 살고 있으며 평해 황씨, 연일 정씨, 창영 조씨, 풍양 조씨가 많다. 주민의 생업은 농업이며, 경작지는 논 70%, 밭 30%로 논이 많고, 밭에는 토마토를 재배한다. 논이 있는 들은 앞뚜루, 뒷뚜루, 서지뚜루, 둔지평(넓다), 부모골, 저고리골, 금강평(10리안의 학산리, 어단리, 금강리가 다 속함) 등이다. 이 마을은 명주군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된 지역이며, 강릉의 수호신인 대관령국사서낭 범일국사가 탄생했고, 신라시대의 5교 9산의 하나인 굴산사가 있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좋은 곳이라 하여 생어모학산(生於茅學山)이라는 말이 전해온다. 동제는 정월 초정일에 고청제사를 지내며 서낭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신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동기달, 최상영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는소리는 초 벌이나 두 벌에 상관없이 부르며 오후 참을 먹고나서 네 시경에 서늘해 지면 소리를 한다. 꺾음오독떼기는 오독떼기를 부르다가 힘이 들면 부르고 그 다음에 잡가나 사리랑, 담성가 등을 부른다. 싸대소리 가운데 “꿈바 어어어리꿍 후우우”하는소리는 오독떼기를 부르는 사이에 뒷소리로 몇 명이 소리를 지르는 것인데, 소리의 흥을 돋우고 흉(소리가 약해지거나 숨을 쉬느라 끊어지거나 하는 등)은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쌈 싸세” 소리는 그 논자리를 다 매고 다른 논자리로 옮겨 갈 때나 참이나 점심을 먹기 위해 논에서 나올 때 부른다. |
가사 | <오독떼기>
앞나 : 머리 좋고 실한 처녀 줄 줄뽕낭게 걸 앉 걸어앉네 앞가 : 오늘 해도 건중갔네 골 골골마둥 정자 정자졌네 앞나 : 모시적삼 젖혀들고 연 연적같은 젖을 젖을 주오 앞가 : 이슬아침 만난 동무 석 석양참에 이별일 이별일세 <꺾음오독떼기> 앞가 : 여주 이천 돌배나무 배 배꽃 피으으어어서 만발해 만발했네 앞나 : 강릉이라 남대천에 빨 빨래바으으어엉치 둥실 둥실 떴네 앞가 : 방실에 방실 웃는 님을 못 못다 보으으어어고 해너에 넘어가네 <잡가> 앞가 : 오동동추야 달 달 밝은 밤에 임의 생각이 무어 절로 난다 어허리 어허으 으으으으 지야 아이고 나일이야 아하이고 다리여라 설움에이고 지야자는 지여올 줄 누어 못 오든가 앞가 : 안곡절 중놈 세 세모시 고깔 정방처녀의 지은 솜씨로구나 어허리 어허으 으으으으 지야 아이고 나일이야 아하이고 다리여라 설움에이고 지야자는 지여올 줄 누어 못 오든가 앞가 : 바람이 불고 비 비 올 줄 알면 어떤 잡년이 무어 마중을 갈까 어허리 어허으 으으으으 지야 아이고 나일이야 아하이고 다리여라 설움에이고 지야자는 지여올 줄 누어 못 오든가 <사리랑> 앞가 : 들어를 간다 들어를 간다 삼밭으로 들어를 간다 에헤루 사리랑 예일적 노 노든 사리랑 앞가 : 방실에 방실 웃느네 임을 못다 보고선 해 넘어간다 에헤루 사리랑 예일적 노 노든 사리랑 앞가 : 여주나 이천 돌배나무 배꽃 피어서 만발도 하였네 에헤루 사리랑 예일적 노 노든 사리랑 <담성가> 앞가 : 갈거나 보다 갈까나 보다 너를 두고서 갈까보다 요게도 담성 조게도 담성 다문담성 내던져 버리고 마에 좋다 네가 네로구나 앞가 : 술맛이 좋고 딸 둔 집에 아침저녁에 놀러가세 요게도 담성 조게도 담성 다문담성 내던져 버리고 마에 좋다 네가 네로구나 앞가 : 산은야 첩첩 청산인데 물은 흘러서 벽계수라 요게도 담성 조게도 담성 다문담성 내던져 버리고 마에 좋다 네가 네로구나 <쌈 싸는소리(싸대소리)> 앞가 : 손 돌러주게1) 손 돌려주게 여러 일꾼 손 돌려주게 (꿈바! 어어어리꿍! 후우우!) 앞나 : 에헤루 싸대야 에 에헤루 싸대야 앞나 : 싸대소리는 늘어지오 에 에헤루 싸대야 앞나 : 아에야 에 우후 쌈 싸세 아 에에야 에 우후 쌈 싸세 아에야 1)손 돌러주게 : 일직선으로 나가며 매던 논을 마지막에 둥글게 원을 그려 달라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