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벼등짐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의 등짐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동기달, 최찬덕, 조교은, 윤흥용, 최상영, 구기오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가/동기달, 앞나/최상영, 앞다/조규은, 앞라/윤흥용, 앞마/최상영, 앞바/구기오 |
지역개관 | 학산리는 설래, 재곡말, 새림말, 문구니골, 옥봉, 미룩굼(미륵이 있었다), 샘모텡이, 뒷골, 바랑골, 왕고개, 동대골, 서지골, 영장평학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산은 매봉산, 만덕봉(마을앞), 갈미봉, 어삼밭골이 있고, 물은 큰골에서 흘러 설래골에서 합수가 되며 칠성골 섬석천(학산하류)으로 해서 동해로 유입한다. 현재 300여 집(2리 200호, 1리 100호)이 살고 있으며 평해 황씨, 연일 정씨, 창영 조씨, 풍양 조씨가 많다. 주민의 생업은 농업이며, 경작지는 논 70%, 밭 30%로 논이 많고, 밭에는 토마토를 재배한다. 논이 있는 들은 앞뚜루, 뒷뚜루, 서지뚜루, 둔지평(넓다), 부모골, 저고리골, 금강평(10리안의 학산리, 어단리, 금강리가 다 속함) 등이다. 이 마을은 명주군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된 지역이며, 강릉의 수호신인 대관령국사서낭 범일국사가 탄생했고, 신라시대의 5교 9산의 하나인 굴산사가 있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좋은 곳이라 하여 생어모학산(生於茅學山)이라는 말이 전해온다. 동제는 정월 초정일에 고청제사를 지내며 서낭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신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에서 채집한 등짐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동기달, 최찬덕, 조규은, 윤흥용, 최상영, 구기오가 참여하였다. 등짐소리는 볏단을 논에서 집으로 지고 올 때도 했지만 봄에 논에다 거름으로 넣는 갈(갈참나무 햇순)을 꺾어 지고 내려오면서도 했다. 또, 처서 무렵에 퇴비 만들 풀을 베어 지고 오면서도 하고, 봄이나 가을에 땔감으로 쓸 나무를 지고 오면서도 했다. 다른 지역의 각종 등짐소리와 마찬가지로 노랫말에는 신세타령이 많이 들어간다. |
가사 | 앞가 : 못 가겠구나 못 가겠구나
짐 무굽고 다리 아파서야 못 가겠네 앞나 : 날 다려라 날 다려라 날 다려게 한양에 낭군님이야 날 다려라 앞다 : 천리로구나 천리로구나 임 계신 곳이야 천리로다 라 : 다리 아프고 짐이 무구워서야 못 가겠네 바 : 못 가겠네 못 가겠네 나는야 못 가겠네 앞가 : 북만에 산천아 말 물어보세 임 가신 곳이야 몇몇이냐 앞라 : 오늘에야 해두야 건주 갔네 골골마다야 정자졌네 앞바 : 일락은 서산에 해 떨어야지고 월출에 동녙에는야 달 솟았네 앞가 : 산천이 고와서야 뒤돌아 봤나 임 계신 곳이래서야 뒤돌아 봤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