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긴난봉가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의 긴난봉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동기달, 김철기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동기달, 김철기 |
지역개관 | 학산리는 설래, 재곡말, 새림말, 문구니골, 옥봉, 미룩굼(미륵이 있었다), 샘모텡이, 뒷골, 바랑골, 왕고개, 동대골, 서지골, 영장평학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산은 매봉산, 만덕봉(마을앞), 갈미봉, 어삼밭골이 있고, 물은 큰골에서 흘러 설래골에서 합수가 되며 칠성골 섬석천(학산하류)으로 해서 동해로 유입한다. 현재 300여 집(2리 200호, 1리 100호)이 살고 있으며 평해 황씨, 연일 정씨, 창영 조씨, 풍양 조씨가 많다. 주민의 생업은 농업이며, 경작지는 논 70%, 밭 30%로 논이 많고, 밭에는 토마토를 재배한다. 논이 있는 들은 앞뚜루, 뒷뚜루, 서지뚜루, 둔지평(넓다), 부모골, 저고리골, 금강평(10리안의 학산리, 어단리, 금강리가 다 속함) 등이다. 이 마을은 명주군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된 지역이며, 강릉의 수호신인 대관령국사서낭 범일국사가 탄생했고, 신라시대의 5교 9산의 하나인 굴산사가 있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좋은 곳이라 하여 생어모학산(生於茅學山)이라는 말이 전해온다. 동제는 정월 초정일에 고청제사를 지내며 서낭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신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학산에서 채집한 긴난봉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동기달, 김철기가 참여하였다. 서도민요. “실실 동풍에.” 라는 노래 가사가 유명해서인지 제주, 경남, 전북 등지에서는 흔히 동풍가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서도소리 가운데 특이하게 남한 시골구석까지 널리 펴진 노래이다. |
가사 | 난봉이 났구나 에루화 또 난봉났구나
남어 집 귀동자 유실난봉이 났구나 에헤에헤에요 어려련마 쓰리둥둥 내 사령만 가노라 슬슬슬 동남풍 궂은비 요리졸졸 오구요 시화연풍에 임만 섞여 놉시다 에헤에헤에요 어려련마 쓰리둥둥 내 사령만 가노라 울퉁에 불퉁에 저기야 저 남산 보게야 우리도 죽어지면 저기야 저 모양 되지요(되누나) 에헤에헤에요 어려련마 쓰리둥둥 내 사령만 가노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