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망이점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기타유희요 > 주술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강동면 금진리의 방망이점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금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금분 |
지역개관 | 명주군은 강원도 태백산맥의 동쪽, 영동의 중앙에 위치한 군이었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평창군과 정선군, 북쪽은 양양군, 남쪽은 동해시와 접하고 중앙에는 강릉시가 자리잡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945.12㎢이고, 1994년말 현재 19,577가구에 인구는 67,481명이며 농업가구는 6,072호이고, 어업가구는 1,690호 정도이다. 행정구역은 1읍 7면 139리 803반 439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지세는 종으로 달리는 태백산맥의 동쪽에 지맥이 급한 경사를 이루면서 구릉과 좁은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에는 사천면 사기막리의 무릉담과 그 북서쪽의 높은 산지에서 발원하는 사천천이 주변에 비옥한 충적평야를 이루면서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대관령에서 발원하는 남대천은 군의 중앙을 지나면서 왕산천과 합류, 강릉쪽으로 유입된다. 이밖에 남한강의 상류로 송천·낙풍천·주수천 등이 있는데 주변에 낮은 구릉지가 이루어져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2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강동면 금진리에서 채집한 방망이점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금분이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열댓살 때 친구들과 방망이점 치며 놀 적에 부르던 노래이다. 삼을 삼다가 도구를 잃어버리거나 평상시에 물건을 잃어버리면 그 행방을 찾기 위해 방망이점을 치기도 하고 장난으로 어떤 물건을 숨겨놓고, 찾는가 보기 위해 점을 치기도 한다. 좌중에 대가 내리는 사람을 골라 눈을 가리고 방망이를 잡게 한 다음, 나머지 사람들이 수건이나 물건 등을 숨겨놓고 방망이에 대가 내릴 때까지 주문과 같은 노래를 반복해서 부른다. 방망이가 떨리기 시작하면 대가 내린 것으로 보고 이 방망이로 하여금 숨겨 놓은 물건을 찾게 한다. 지역마다 사설이 약간씩 달라 이 노래에서처럼 가창자들이 우러르는 인물을 부르는가 하면 춘향이를 부르는 곳도 있다. |
가사 | 봉아봉아 천지봉아
용바람에 대장고야 어깨 짚고 소매 짚고 어리설설 너려주소 이공태자 함태자 이금불상 기영초 삼금민마 조자래1) 상칠강모 황강모 오관천장2) 관운장3) 육구민마4) 진서왕5) 칠검칠검 제갈령 팔금푼조 초패왕6) 구연진사 한삼오 백자춘하 공부자 억자만세 조작세 천리만리 석시리 강재해주시사 1)조자래→조자룡(趙子龍)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명장. 2)五關斬將. 삼국시대 소패(小沛)에서 조조에게 패한 유비는 하북의 원소(袁紹)에게 가 있고 관운장은 유비의 두 부인과 조조에게 억류되어 있다가 유비의 소식을 듣고 그에게로 돌아가는 도중에 다섯군데의 수관장(守關長)이 길을 막고 음해하려고 하므로 오관을 지나면서 여섯 장수를 버힌 것을 말함. 3)관운장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명장. 4)육구민마 : 진시황이 육국인 초(楚), 연(燕), 제(齊), 한(韓), 위(魏), 조(趙)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한 것을 말하는 듯. 5)진서왕→진시황(秦始皇. B.C.259~210) : 진(秦)의 초대 제왕. 육국을 멸하여 천하를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라 일컬음. 만리장성, 아방궁 등으로 유명하다. 6)楚覇王(B.C 232-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