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머리잇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명주군 왕산면 대기리 한터의 말머리잇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동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동선 |
지역개관 | 대기리는 큰 터가 있어서 한터라 했으며 눗골(늪골), 늘막골, 도화목이, 마지모기, 용숫골, 작은터, 갈밭골, 벌말, 곰자리, 닥모기, 바람부리, 석동거리, 배나드리, 다릿골, 제도리, 새이수터(사이물터), 놀거리, 핏골, 자웃골, 소란, 가락동, 동초밭, 황철때기, 가리쟁이, 당묵골, 맹데기, 새초밭골, 새터, 신직이, 안배나드리, 양짓말, 자장박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고, 당목령(계항치), 다릿재, 능경재, 들밋재(입미치), 마지모기(우항), 사자목재, 피동령 등의 고개와, 성냥가꾸미, 안반대기, 싸리버덩 등을 포함하여 수 많은 골짜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마을들은 앞뒤가 산으로 겹겹이 쌓이고 그 사이를 흐르는 계곡(한터개울)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약 200여 년전에 동초(약초의 일종)가 많아서 이름 붙여진 동초밭에 사람들이 들어와서 마을을 개척했으며 농기구 등을 이곳에서 직접 만들어 썼고 총(화포대)도 만들었다고 한다. 마을에는 북한에서 내려온 사람들이 많이 살았으며 주로 비결파들이었다. 예전부터 화전을 일구어서 생활했던 곳으로 좋은 경작지를 쫓아 여기저기 옮겨 다니며 밭을 일구었고 이 때는 150여 가구가 마을에 살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에 6·25, 간첩사건, 화전정리, 교육문제 등으로 20여 년동안 모두 떠났고 1970년도에는 28가구가, 지금은 12가구가 살고 있다. 화전을 하던 곳은 모두 소나무숲이 되었고 강릉과 정선 쪽으로 연결되는 길은 1973년부터 닦기 시작하여 거의 10년을 닦았는데 아직도 험한 비포장 도로이며 대중교통은 연결되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3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명주군) 왕산면 대기리 한터에서 채집한 말머리잇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동선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앞집 총각 나무하러 가세
배가 아퍼 못 가겠네 뭔 배 자래배1) 뭔 자래 에미자래2) 뭔 에미 솔에미3) 뭔 솔 탑솔4) 뭔 탑 인지탑5) 뭔 인지 코리인지6) 뭔 코리 버들코리 뭔 버들 수영버들 뭔 수영 하늘수영7) 뭔 하늘 청하늘 뭔 청 대청 뭔 대 왕대 뭔 왕 나라왕 뭔 나라 되나라8) 뭔 되 쌀되 뭔 쌀 보리쌀 뭔 보리 갈보리 뭔 갈 떡갈 뭔 떡 개떡 뭔 개 사양개9) 뭔 사양 꿩사양 뭔 꿩 장꿩 뭔 장 강릉읍장 1)자래배→자라배 : 복학(腹瘧). 한방에서 비장(脾臟)이 부어 뱃속에 뜬뜬한 것이 생기면서 한열(寒熱)이 심히 나는 어린아이의 병을 말함. 2)에미자래→어미자라. 3)솔에미 : 솔개미? 솔개미는 솔개(소리개)의 방언. 4)탑솔 : ? 5)인지탑 : ? 6)코리인지 : ? 7)하늘수영 : ? 8)되나라 : 중국. 9)사양개 : 사냥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