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척군 근덕면 양리 둔지의 밭매는소리-메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준억, 정길영, 최운녀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박준억, 나/정길영, 다/최운녀 |
지역개관 | 삼척군 근덕면 양리 둔지는 최근에 행정개편에 의해 동막리에서 양리로 되었으며 15가구에 35명이 살고 있는 자그마한 마을이다. 논은 조금 밖에 없으며 밭농사는 콩과 서숙(조)을 심고 특용작물로 도라지를 재배하며 산에서 채취하는 송이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아주 살기좋은 마을로 가구수도 많은 큰 마을이었지만 다 떠났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9월 5일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군) 근덕면 야리 둔지에서 채집한 밭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준억,정길영,최운녀가 참여하였다. 메나리는 논을 맬 때와 밭을 맬 때 모두 불렀다. 논은 두 벌까지 호미로 매고, 세벌은 한 사람이 앞에서 쟁기를 끌어주면 한 사람이 뒤따라 가며 흙을 뒤집어 덮었다. 논은 여자도 같이 맸다. 메나리를 부를 때는 이슬털이라고 해서 주인이 의무적으로 먼저 한 마디를 불렀다. 주인이 소리를 못하면 송가래를 친다하여 벌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대개 두 패로 나누어 소리를 주고 받는데, 각 패가 일하는 장소가 다르고 다른 집 일을 하고 있어도 소리가 들리면 서로 주고 받았다고 한다. 보통 한 집 일꾼은 20여 명 정도씩 되었다. 박준억 가창자는 마흔 살 정도까지 직접 일하면서 불렀다고 하는데 해방후부터 차츰 소멸되기 시작했고 지금은 그 때보다 가락도 많이 빨라졌다고 한다. |
가사 | 가 : 모시적삼 안자락에 연적같으네 젖을 보오
나 : 방실방실 웃는 님을 못 대 보구야 해가 지오 가 : 사래1) 길고 장찬 밭은2) 어느 임이가 갈아주나 가 : 상주함창 공갈못에3) 연밥 따느네 저 큰아기 가 : 연밥으는 내가 딸께 이내 품안에 잠 들어 보게 다 : 늦에가오 늦에가오 정슴참이가 늦에가오 가 : 이내 골을 얼른 매고 임에 골을야 마중 가세 나 : 슬퍼가오 슬퍼가오 음지양지가 실퍼가오 가 : 방실방실 웃는 임을 못다 보구서 해가 지네 1)사래 : 이랑의 옛말. 2)장찬밭 : 긴 밭. 3)상주함창 공갈못 :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에 있는 연못으로 농요 사설에 많이 등장한다. 특히 이 구절과 다음 구설은 경상도의 모심는소리에 흔히 등장하는 사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