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황장목 끄는 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척군 근덕면 양리 둔지의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황장목 끄는 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0905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삼척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삼척군) 근덕면 양리 둔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3 ,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 , 황장목끄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 강원 , 삼척시 , 1994 , 1996 , 황장목 끄는 소리 , 박준억 , 정길영 , 최운녀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박준억, 정길영, 최운녀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준억, 뒤/정길영, 최운녀 |
지역개관 | 삼척군 근덕면 양리 둔지는 최근에 행정개편에 의해 동막리에서 양리로 되었으며 15가구에 35명이 살고 있는 자그마한 마을이다. 논은 조금 밖에 없으며 밭농사는 콩과 서숙(조)을 심고 특용작물로 도라지를 재배하며 산에서 채취하는 송이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아주 살기좋은 마을로 가구수도 많은 큰 마을이었지만 다 떠났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9월 5일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군) 근덕면 양리 둔지에서 채집한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준억, 정길영, 최상일이 참여하였다. 황장목 끄는소리는 어깨에 멜 수 없을 만큼 커다란 통나무를 줄로 묶어 끌면서 하는소리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일의 속도에 따라 한 마디로 메기거나 두 마디로 메기는 것을 결정한다. 즉 선소리꾼이 현장의 상황에 따라 일이 힘들면 두마디로 메겨서 쉴 수 있는 시간을 주고, 빨리 끌어야 할 때는 한 마디로 메겨서 속도를 낸다. 삼척군 삼방산(사금산)에서 나온 황장목은 둘레가 여섯 자이고 길이가 육십 자인 통나무로, 앞뒤에 각각 150명씩 300명이 사흘동안 끌어서 덕산의 바다로 운반한 다음 배에 싣고 인천으로 가 경복궁 상량목으로 들어 갔다고 한다. 황장목의 실제 길이는 육십두 자로 육십 자는 그냥 두고 앞뒤에 각각 한 자씩 여유분을 두어 이 곳에 구멍을 뚫어 줄을 꿴다. 이렇게 큰 황장목은 한 군에 한 그루 있을까 말까 했으며, 이 나무를 끄는 동안에 산에서 계속 웅소리가 났다고 한다. |
가사 | 우이야 호호
우이야 호호 여러분네 일심동력 우이야 호호 여차소리 낭기 간다 우이야 호호 낭그는 크고 사람은 적네 우이야 호호 구부렁굽신 땡겨주게 우이야 호호 타박타박 재고갠가1) 우이야 호호 월컥덜컥 돌고개냐 우이야 호호 태산준령2) 넘어가도 우이야 호호 굼실굼실 잘도 간다 우이야 호호 오백여년 자린 솔이3) 우이야 호호 황장목이4) 되었구나 우이야 호호 진시왕에 아방궁에 우이야 호호 상량목이5) 못 되였고 우이야 호호 한무제야 백양대에 우이야 호호 두리기둥이6) 못 되야서 우이야 호호 한양천리 먼먼 길에 우이야 호호 한치 두치 지나과도 우이야 호호 굼실굼실 잘도 가네 우이야 호호 삼각산에 내린 주룡 우이야 호호 무학이 잡은 터에 우이야 호호 학의 헹국 자좌오향7) 우이야 호호 오백년을 도읍할 제 우이야 호호 여차소리 낭기 가오 우이야 호호 비가 와서 물고갠가 우이야 호호 아질아질 아지랑고개 우이야 호호 달이 떠서 망월고개 우이야 호호 구부렁굽신 당겨주오 우이야 호호 여러분네 일심동력 우이야 호호 여차소리 낭기 가네 우이야 호호 선들선들 부는 바람 우이야 호호 추풍령고개가 당돌했네 우이야 호호 (웃음) 1)재고개 : 재는 길이 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2)泰山峻嶺. 큰 산과 험한 고개. 3)솔 : 소나무. 4)황장목 : 관을 만드는 데 쓰이는 질이 썩 좋은 소나무를 일컫는 말이기도 하나 여기서는 아주 큰 소나무를 뜻한다. 5)상량목 : 상량(마룻대)으로 쓰이는 나무. 집을 지을 때 상량에다 축문(祝文)을 쓰거나 종이에 써 붙이기도 하고, 집안의 우두머리 신인 성주를 흔히 이 곳에 모신다. 6)두리기둥→도리기둥 : 목조 건물의 골격이 되는 부재(部材). 들보와 직각으로 위에 얹는 나무로 서까래를 받치는 구실을 한다. 7)子坐午向.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향함. 곧, 정남방으로 앉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