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촌성님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척군 노곡면 하월산리의 시집살이노래-사촌성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해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신해선 |
지역개관 | 삼척군은 강원도 동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정선군·태백시, 남쪽은 경상북도의 울진군·봉화군, 북쪽은 삼척시·동해시와 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1,183.99㎢이고, 1994년말 현재 14,281가구에 인구는 50,930명이다. 원래는 현재의 태백시와 동해시, 삼척시를 포괄하는 광대한 지역이었으나 차츰 분리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2읍 6면 161리 828반 358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1995년 1월 1일자로 삼척시로 통합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8월 2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군) 노곡면 하월산리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해선이 참여하였다. 일반적인 시집살이 노래에서는 친정에 가고 싶은 마음만 표현하나 여기서는 실제로 친정에 가는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의미에서 보면 친정엘 가려면 웃짐지고 친정으로 가야 하는데 시집의 궁핍한 살림살이 때문에 꿈이 좌절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가사 | 성님 성님 사촌성님
친전이라 안 가오 친정이라 갈라면은 찰떡 치고 메떡1) 치고 붕이2) 잡아 웃짐 치고 영계 잡아 웃짐 치고 친전이라 썩 들가니 말망새끼3) 꼴 달라네 정지간에4) 썩 들가니 정지 아기 쌀 달라네 구들 안에 썩 들가니 누분5) 애기 젓 달라네 누분 아기 젇을 주고 정지 아기 쌀을 주고 말망새끼 꼴을 주고 마당 밖에 썩 나오니 어디메로 가잔 말가 이수6) 없는 천리길에 어디메를 가잔 말가 1)메떡 : 멥쌀로 만든 떡. 2)붕이→붕어. 3)말망새끼 : 망아지. 4)정지간→정주간. 부엌과 안방 사이에 벽이 없이 부뚜막과 방바닥이 한데 잇닿은 곳. 흔히 부엌을 말하기도 한다. 5)누분→누운. 6)里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