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비둘기소리흉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소리흉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척군 가곡면 오저리 갈버들의 새소리흉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노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노미 |
지역개관 | 삼척군은 강원도 동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정선군·태백시, 남쪽은 경상북도의 울진군·봉화군, 북쪽은 삼척시·동해시와 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1,183.99㎢이고, 1994년말 현재 14,281가구에 인구는 50,930명이다. 원래는 현재의 태백시와 동해시, 삼척시를 포괄하는 광대한 지역이었으나 차츰 분리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2읍 6면 161리 828반 358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1995년 1월 1일자로 삼척시로 통합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8월 23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군) 가곡면 오저리 갈버들에서 채집한 새소리흉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노미가 참여하였다. 비둘기소리 흉내는 새소리 흉내 가운데 가장 인간적인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는 노래이다. |
가사 | 뿌꿍 뿌꿍 지집 뿌꿍
지집 죽어 상체하고 자슥 죽어 애청하고1) 물가 전지2) 수패하고3) 산중 전지 해정하고4) 뿌꾹 뿌꾹 지집 뿌꾹 1)애청→애총 : 아총(兒塚). 어린아이의 무덤 2)물가전지 : 물가에 있는 논과 밭. 3)水敗 : 수해. 물로 말미암은 실패. 4)해정 : 일찍 서리가 오는 바람에 곡식이 미처 여물지 못하고 얼어서 실패한 것을 말한다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