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척군 원덕읍 기곡리 중천배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주, 김영출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김영주, 뒤/김영출 |
지역개관 | 기곡1리는 5개반으로 형성되어 100여 집이 살고 있다. 기곡리의 원래 이름은 기실이며 중천배, 상천배, 남양촌, 곡촌, 선의곡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8개반이었으나 1980년대에 1리와 2리로 분동이 되면서 옛터, 동작골(옹점마을),양지마을 등 3개반이 2리가 되었다. 1리는 밭이 더 많고 2리는 논이 더 많다. 논은 중천배들, 곡촌앞들이 있으며 지께들은 경작자가 반 이상이 축천 사람들이다. 하촌에는 저수지들이 있다. 밭에는 보리, 밀을 많이 재배했었는데 밀은 없어지고 보리를 주로 심으며 후작으로 콩, 고추와 조(서숙)도 조금 심는다. 주요 소득원은 보리와 고추이다. 논에는 벼를 베고 마늘을 심는다. 마늘은 모든 논에 심는 것은 아니고 습기가 적고 배수가 잘되는 논에만 심으며, 하지 무렵에 캐고 모를 심는다. 마늘을 심지 않는 논과는 한 달정도 차이가 나며 벼 수확에 있어서는 이모작논의 수확이 떨어진다. 동제인 서낭제사는 음력 정월 대보름에 정해 놓고 지낸다. 서낭당은 반마다 모두 있어서 각자 반 단위로 지내며 음력 정월 사흗날 회의를 하여 당주를 정하고 제관 2명을 뽑는다. 따라서 당주와 제관 등 3명이 지내며 집집마다 소지를 올려주는데 가족 중에 남자는 모두 올려준다. 예전에는 각 가정의 대주만 올렸으나 최근에 객지에 나가 있는 자식들이 늘어나면서 새로 생긴 풍습이라고 한다. 제물비용은 동네땅인 도가논이 600평 정도 있어 여기서 도지로 받는 40%의 수익금과 마을 주민들에게 거출했던 돈으로 공동기금을 마련하여 이 돈으로 제물을 준비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8월 23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군) 원덕읍 기곡리 중천배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주, 김영출이 참여하였다. 작두로 직접 옥수수 줄기를 썰면서 했다. 김영주씨가 풀을 메기면서 소리를 하고 김영출씨가 작두를 디디며 소리를 받았다. 김영주씨는 풀써는소리를 열일곱 살부터 했다고 한다. |
가사 | 어 우러리야
연에1) 연에 우러리야 어 과타2) 이거를 썰까 어 이거르 어따 이거 어 모텍이여 여 연에 야 뭐시기 거시기 화시기 주시기3) 어 다 들어간다 여 이게 뭄푸레4) 어 싸리꼬두리다5) 이거르 썰까 연에 우러리 연에 우러리 연에 막 들어간다 막 들어가 너무 과타 먹싱거리야6) 여 음달에 먹싱거리 야 옻나무 과텍이다7) 여 이거르 이거르 왜 이걸 못 싸나 이거를 누릴까 어따 이거 연에 이거르 이거르 야 뭐시기 거시기 황이 어이 잘 싼다 어 연에 우러리여 물러도 과해8) 이거르 쌀까 여 이거 어참 우러리 야 이거는 갈빗대다9) 여 우러리 여 우러리야 우러리 야 이거 처녀 야 처녀 삭두다10) 아 참 처녀 불알이구나11) 어 참 우러리 여 우러리야 이거 곰방대구나12) 이거르 쌀까 어 잘 누린다 야 누기 누기 누리나 뭐시기 거시기 화시기 주시기 다 누린다 연에 우러리여 어 과쿠나 과해 이거르 이거르 일시도 맘 놓지 마 어 우러리 참 잘 누린다 이건 뭐 … 허 뭐시기 거시기 화시기 주시기 다 어불레 노니13) 잘 누리는구나 어 이를 이거르 어 뭄푸레 꼬두리여 어 싸리 꼬두리다 어 이거 옻나무 어 이거 뭘까 이거 봐라 어이 어이 우러리여 이거르 이거르 썰까 이거르 이거르 어 이거르 어 건네치기14) 해보까 어허 어 잘한다 어 우러리야 우후후후후… 어후후후후… 어이 잘 누린다 야 참 잘 하기는 잘 하는구나 언제 모였는가 여어 우러리야 언제 갖다 놨나 야 이거 야 이거 아람도리다 아람반이다 아람반 이거르 누릴까 어 우러리여 아 이거 과타 과해 아 이 넘 많다 어 우러리야 참 잘 싼다 잘 쌀아 이 누기 누기를 어 우러리 어 청 어 고만! 1) 연에: 연달아 2) 과타: 과하다. 너무 많다. 3) 뭐시기 거시기 화시기 주시기: 풀이 이것 저것 섞여서 들어간다는 말. 4) 뭄푸레: 물푸레나무. 5) 싸리꼬두리: 싸리나무. 몹시 야물다. 6) 먹싱거리: 음달에서 자라는 나무 이름. 물밤나무라고도 한다. 7) 옻나무 과텍이다: 옻나무 등등이다. 8) 물러도 과해: 무르긴 하지만 너무 많다. 9) 갈빗대: 아주 보드랍고 무른 것. 흔히 지렝이 갈빗대라고 표현한다. 10) 처녀상투: 음달에서 자라는 키가 큰 나무를 일컫는 말. 처녀가 상투를 틀면 크다는 데서 나온 말이라 함. 11) 처녀 불알: 뜻없이 재미로 한 말. 12) 곰방대: 담뱃대. 여기서는 길이가 짧은 풀이나 나무. 13) 어불레 노니: 어울려 놓으니. 14) 건네치기: 두 번 썰 것을 한 번에 썰게 쑥 넣어 주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