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운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삼척군 원덕읍 기곡리 중천배의 운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진병두, 박화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진병두, 뒤/박화식 외 |
지역개관 | 기곡1리는 5개반으로 형성되어 100여 집이 살고 있다. 기곡리의 원래 이름은 기실이며 중천배, 상천배, 남양촌, 곡촌, 선의곡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8개반이었으나 1980년대에 1리와 2리로 분동이 되면서 옛터, 동작골(옹점마을),양지마을 등 3개반이 2리가 되었다. 1리는 밭이 더 많고 2리는 논이 더 많다. 논은 중천배들, 곡촌앞들이 있으며 지께들은 경작자가 반 이상이 축천 사람들이다. 하촌에는 저수지들이 있다. 밭에는 보리, 밀을 많이 재배했었는데 밀은 없어지고 보리를 주로 심으며 후작으로 콩, 고추와 조(서숙)도 조금 심는다. 주요 소득원은 보리와 고추이다. 논에는 벼를 베고 마늘을 심는다. 마늘은 모든 논에 심는 것은 아니고 습기가 적고 배수가 잘되는 논에만 심으며, 하지 무렵에 캐고 모를 심는다. 마늘을 심지 않는 논과는 한 달정도 차이가 나며 벼 수확에 있어서는 이모작논의 수확이 떨어진다. 동제인 서낭제사는 음력 정월 대보름에 정해 놓고 지낸다. 서낭당은 반마다 모두 있어서 각자 반 단위로 지내며 음력 정월 사흗날 회의를 하여 당주를 정하고 제관 2명을 뽑는다. 따라서 당주와 제관 등 3명이 지내며 집집마다 소지를 올려주는데 가족 중에 남자는 모두 올려준다. 예전에는 각 가정의 대주만 올렸으나 최근에 객지에 나가 있는 자식들이 늘어나면서 새로 생긴 풍습이라고 한다. 제물비용은 동네땅인 도가논이 600평 정도 있어 여기서 도지로 받는 40%의 수익금과 마을 주민들에게 거출했던 돈으로 공동기금을 마련하여 이 돈으로 제물을 준비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6년 2월 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삼척군) 원덕읍 기곡리 중천배에서 채집한 운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진병두, 박화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뒷산에서 벌어진 산판현장에서, 앞소리꾼을 포함하여 모두 네 명이 작업하는 실제의 현장을 녹음했다. 가창자들의 말에 의하면 이 것은 소규모 작업이고 나무가 작기 때문에 일의 속도가 빨라서 당연히 소리도 빠르고 짧다고 한다. 운재소리는 나무가 크고 무거울수록 움직임이 둔하고 힘이 들어 소리도 느리고 훨씬 구성지다고 한다. |
가사 | 여이도 자 당게보자
어이사코라 저 다마가 후려보자 어여라차하(이하 뒷소리는 생략함) 옳다 여 이놈을 질게만 당게보시오 여 이놈도 조금 돌려놓고 어하라 굴레봅니다 여 이여놈 해 보자고 저쪽으로 만이가 이놈 한 번 내레가야만 어 요놈도 댕게보고 자주만 당게 보시오 자...넘어 드간다 여 요놈도 당게보시요 요놈도 당겨보자 자주만 당게 보낸다 옳구나 내려간다 어이도 내레간다 어여라... 여 이놈을 내쪽이다 저쪽으로만 요놈도 돌레보자고 도비가 내쪽으로 오시오 어여라... 저 뒤에 이놈을 자주만 당게 보시고 여 이놈 해보자고 자주 당게 당게 주시오 요놈도 해보자고 어이야 내려간다 어여라 내레갑니다 요놈도 당게보고 어이도 뒷나무 조심하시요 여이사 여이도코 내래갑니다 에이놈 여 이놈을 어이사... 자주 당게 당게주시오 여이사 여 이놈을 저쪽으로 후레 당기자 저 도비가 따라갑니다 여 이놈도 해보자고 뒷나무들 조심하면서 저곳으로 돌려보자고 아이구나 내 이놈을 어이사... 저 뒤에 보시요 뒤에요 어여라... 어이도 이놈을 나무 우에는 뒤에 오시요 저 나무가 따라옵니다 어여라 내레가요 뒷나무들 조심하시고 자주만 당게가시오 여이도 이제 이놈을 어이사... 아이구나 저놈의 도비가 뒷다마 잡아 돌려 얼마라도... 여 이놈을... 아이구나... 어이도 뒷나무 조심해 어이도 해보자고 어여라... 뒷나무들 조심하면서 요놈도 당겨보내고 저 뒤에 저거보라고 어이사 내레간다 저 다마가 뭐가 있느냐 그래주시요... 어이사 어이도... 저 뒷낭기 따라온다 어여차 내레가야만 자꾸만 내레 보내고 저 뒤에 당내로 여이도 여 이놈을 또 하나 보내보자 .......하자고 또 하나 보내보시요 저 뒤에 저 놈을 다마가 뭐가 되나 어여라 당게 보낸다 어 이놈을 해봐야 되는데 저쪽에서 당게 돌리자 옳다 자... 저 모퉁 후레갑니다 ...여 이놈을 돌리메 당긴다 자주만 보낸다 ... 당게보자 어여라차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