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간평(사그맥이)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부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부길 |
지역개관 | 금악리는 간평, 골말이라는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논이 있는 들은 간평들, 비행장들이다. 현재 70여 가구가 살고 있는 이 마을은 수복된 지 45년 되었으며 수복당시에는 용인 이씨 집성촌으로 토박이가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토박이가 10여 가구밖에 없고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은 모두 논농사를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꽃단지와 버섯재배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동제는 산제를 음력 8월 13일 낮 12시 강가에 있는 산천당(서낭당)에서 지낸다. 제물은 돼지 한 마리를 잡고, 메 세 그릇과 쌀 서되 서홉으로 찐 백설기 세 그릇을 쓴다. 제관은 생기를 맞추어서 평균 세 명을 뽑고 축을 읽는다. 예전에 날을 받아 지낼 때는 제물을 준비하는 도가를 생기복덕을 맞추어서 뽑고, 금줄을 쳤으며, 제물은 산천당에 올라가서 익히고, 제주룰 직접 봉했었다. 그러나 날짜가 고정된 이후는 도가도 순번을 정해놓고 돌아가며 맡고, 금줄을 치지 않으며, 제물은 집에서 익혀서 가져가고 제주는 사다가 쓴다. 서낭당은 산천제당 또는 산천당이라 하는데 신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 예전에 선골에 여신이 있어서 제를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2월 1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간평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부길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얼씨구씨구 들어헌다
이 때는 마츰 어느 때냐 양춘가절1) 봄 들어 가지 가지나 꽃빛이요 우리나 부모가 날 날제 자식의 영환을 볼라다 병신의 자손을 나 가주 병신의 몸이 기박하여 남의나 문전을 지킵니다 한푼의 동냥은 못 줘두 장타령이나 들어보소 혼자나 가면 심심질 둘이나 가면 수작질 서이 가면 가래질 너이 가면 튀전질 튀전 끝에는 쌈질 얼뜬 놈은 관상질2) 발칙한 놈은 주먹질 들었다 놨다 도망질 심산초목에 도깨질 초한승전에 팔매질 경상도 풍기장은 바람이 세서 못 보고 아랫웃장 원산장 오로나리다 못 보고 꾹 찔렀다 피난장 끔찍해서나 못 보고 아삭바삭 담배장은 바서나져서 못 보고 뿌레기 없는 감나무 감이나 함빡 열린거 내려 가서 흔들어 올라가서 줏어 담아 인간 없는 고데3) 가 돈벼락이나 맞었소 1)陽春佳節. 2)관상질 : 남이 싸우는데서 바라만 보고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 3)고데→곳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