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새 하나 파랑새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간평(사그맥이)의 새 하나 파랑새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부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부길 |
지역개관 | 금악리는 간평, 골말이라는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논이 있는 들은 간평들, 비행장들이다. 현재 70여 가구가 살고 있는 이 마을은 수복된 지 45년 되었으며 수복당시에는 용인 이씨 집성촌으로 토박이가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토박이가 10여 가구밖에 없고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은 모두 논농사를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꽃단지와 버섯재배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동제는 산제를 음력 8월 13일 낮 12시 강가에 있는 산천당(서낭당)에서 지낸다. 제물은 돼지 한 마리를 잡고, 메 세 그릇과 쌀 서되 서홉으로 찐 백설기 세 그릇을 쓴다. 제관은 생기를 맞추어서 평균 세 명을 뽑고 축을 읽는다. 예전에 날을 받아 지낼 때는 제물을 준비하는 도가를 생기복덕을 맞추어서 뽑고, 금줄을 쳤으며, 제물은 산천당에 올라가서 익히고, 제주룰 직접 봉했었다. 그러나 날짜가 고정된 이후는 도가도 순번을 정해놓고 돌아가며 맡고, 금줄을 치지 않으며, 제물은 집에서 익혀서 가져가고 제주는 사다가 쓴다. 서낭당은 산천제당 또는 산천당이라 하는데 신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 예전에 선골에 여신이 있어서 제를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2월 1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간평에서 채집한 새 하나 파랑새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부길이 참여하였다. 줄거리도 이어지지 않고 어떤 놀이도 연상되지 않는 정체불명의 노래이다. 열세살 때에 누이나 형수들이 놀면서 하는소리를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새 하나 파랑새
나부1) 하나 분홍나부 생금생금 생가락지 일생금에 낫가락지 하늘에 밀가락지2) 우리나라 주상님 무슨 탈로 병 들었나 뒤란에 대추나무 찍고 호병 짓고3) 병 들었지 무슨 약이 약일까 청슴환이 약일까 수화변이4) 약일까 임금물를5) 물어다가 대장앞에6) 집을 짓고 앞이라고 구워보니 만리꽃이7) 피었더라 한줌 두줌 꺾어지고 어머이 하나 진짓니가8) 아버이 하나 진지선비9) 올게 하나 대궐각시10) 뒷문 앞에 선 애기 아가 아가 우지마라 참배 줄라 가지 줄라 고에 공대 짝저고리11) 앞주름 반주름12) 뒷주름 참주름13) 가진 잎에 옥주름 수수잎은 수절하고14) 단콩잎은 단절하고15) 1)나부→나비. 2)하늘이 둥글다는 뜻이라고 함. 3)호병짓고 : 대추나무를 찍어다가 집 안채의 광 따위를 짓고 동티가 난 것을 말한다고 함. 4)수화변 : 약이름. 입병이 났을 때 바르는 약이라 함. 5)임금물 : 까치가 물어다가 나무위에 집 짓는 것이라고 한다. 6)대장앞에 : 집을 지을 때 방위를 보는데 사방(동·서·남·북)에 대장방, 삼살방 등이 있고 여기서는 대장방을 말한다고. 7)만리꽃 : 일년에 꽃이 만가지가 핀다는 뜻으로 즉 일년에 피는 모든 꽃을 일컫는다고 함. 8)진짓니가 : 전주 이가. 9)진지선비 : 진주선비라 함. 10)대궐각시 : 민며느리가 머리도 제대로 단장하지 못하고 고생한 모양새를 말한다고 한다. 11)고에공대 짝저고리 : 공을 들여서 만든 색동저고리라고 한다. 12)반주름 : 굵은 주름. 13)참주름 : 잔주름. 14)수절하고 : 수수는 모종을 시켜서 수절한다고 표현. 15)단절하고 : 단콩은 여름인 6월에 먹는 곡식으로 그때 먹으면 끝나기 때문에 단절이라고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