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꼬리잇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말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간평(사그맥이)의 말꼬리잇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양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양춘 |
지역개관 | 금악리는 간평, 골말이라는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논이 있는 들은 간평들, 비행장들이다. 현재 70여 가구가 살고 있는 이 마을은 수복된 지 45년 되었으며 수복당시에는 용인 이씨 집성촌으로 토박이가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토박이가 10여 가구밖에 없고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주민은 모두 논농사를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꽃단지와 버섯재배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동제는 산제를 음력 8월 13일 낮 12시 강가에 있는 산천당(서낭당)에서 지낸다. 제물은 돼지 한 마리를 잡고, 메 세 그릇과 쌀 서되 서홉으로 찐 백설기 세 그릇을 쓴다. 제관은 생기를 맞추어서 평균 세 명을 뽑고 축을 읽는다. 예전에 날을 받아 지낼 때는 제물을 준비하는 도가를 생기복덕을 맞추어서 뽑고, 금줄을 쳤으며, 제물은 산천당에 올라가서 익히고, 제주룰 직접 봉했었다. 그러나 날짜가 고정된 이후는 도가도 순번을 정해놓고 돌아가며 맡고, 금줄을 치지 않으며, 제물은 집에서 익혀서 가져가고 제주는 사다가 쓴다. 서낭당은 산천제당 또는 산천당이라 하는데 신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 예전에 선골에 여신이 있어서 제를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2월 1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간평에서 채집한 말꼬리잇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양춘이 참여하였다. 사물의 공통점을 찾아서 말 꼬리를 이어가는 노래이다. 열살 무렵에 친구들과 어울려 삼을 삼거나 놀면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저건네 새추패긴1) 심두 시다
시믄 늙은이지 늙은이믄 꼬부라 졌지 꼬부라지믄 지르매가지다2) 지르매가지믄 네구녕이다 네구녕이믄 동시루지3) 동시루믄 까맣지 까마믄 까마구지 까마구믄 너블대지 너블대믄 무당이다 무당이믄 뛴다 뛰믄 베룩이지 베룩이믄 깨민다 깨밀믄 빈대지 빈대믄 빨갛다 빨가믄 대추지 대추믄 달다 달면 엿이지 엿이믄 달라붙지 달라붙으믄 첩의 영산이다4) (웃음) 1)새추 패긴→억새 포기는 2)지르매가지→길맛가지 : 길마는 짐을 싣기 위하여 소의 등에 안장처럼 얹는 도구를 말하며 길맛가지는 길마의 몸을 이루는 구부러진 나무를 말한다. 3)동시루 : 제일 작은 시루. 대시루는 열두구멍에 손잡이가 네개이고 중시루는 아홉구멍에 손잡이가 두개이다. 4)첩의 영산 : 첩이 죽은 귀신. 아주 다부지게 달라붙는 무서운 귀신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