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구군 동면 팔랑리 바랑골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인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인세 |
지역개관 | 양구군 동면 팔랑리 바랑골은 대암산 밑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다. 부엉바우라도 하고 중이 와서 바랑을 벗어 놓았다 하여 바랑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느림골, 가리점말, 무학동, 범바우, 돌고지, 재작제이, 송림말, 막은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고, 절터가 있으며, 돌산령, 삼친령, 달산령(이북) 등 세 개의 큰 고개가 있는데 달산령은 달래강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화가 전해온다. 대암산은 주민들이 나물 뜯고 약초도 캐는 중요한 생활터전이 되고 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쌀 이외에 콩·옥수수·조 등을 많이 심는다. 마을에는 논도 많으나 밭이 좀 더 많다. 현재 양구군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4년 바랑골농요로 전국 민속경연예술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 바랑골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인세가 참여하였다. |
가사 | 이러 이러이러이러
저 소야 나가자 어서 어디 어디! 올라스지 말구서 제고랑으로 에 잡아 당겨 안야 안야 안야 안야 안야 마라소 올라 스면서 잡어 당겨라 어 이러 어디 어디 어디! 올라스면서 잡아 당기게 이러 이러! 저 바우 넘으루으이 넘어로 얼가자 어어 이러 이러! 뿔 다친다 어이 조심해 잡어 당겨 어 이러! 사발뗏장1) 일어난다 잡어 당겨 허 이러! 이러이러이러! 사발떼가 펄떡 펄떡 일어나네 어 이러! 어디어디어디! 안소가 내려가지를 말고 올라서게 어 이러! 우소리 나거든 안소가 뒤에로 물러서게 어 이러! 어디어디어디! 돌아스면 안소가 물러서거라 어 이러! 이러! 어디어디어디! 잡어 다려 잡어 다려라 어 이러! 저 방뎅이2) 넘으루 넘어 가자 어 이러! 돌돌돌돌! 돌 밟지 말구 잡아 당겨라 어 이러! 멍들밭에 족 다친다 어 이러! 어디 어디! 내려가지 말구 제 고랑으루 에 잡어 당겨라 어디에 어이! 안야안야안야안야안야 안소 올라오지 말고 잡어 다려라 어 이러허! 1)사발뗏장 : 뗏장은 뿌리째 떠낸 잔디. 사발뗏장은 풀이 무더기로 뽑혀져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2)방뎅이 : 나무를 베고 남은 밑동. 그루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