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구군 동면 팔랑리 바랑골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덕원, 김옥희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덕원, 나/김옥희 |
지역개관 | 양구군 동면 팔랑리 바랑골은 대암산 밑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다. 부엉바우라도 하고 중이 와서 바랑을 벗어 놓았다 하여 바랑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느림골, 가리점말, 무학동, 범바우, 돌고지, 재작제이, 송림말, 막은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고, 절터가 있으며, 돌산령, 삼친령, 달산령(이북) 등 세 개의 큰 고개가 있는데 달산령은 달래강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화가 전해온다. 대암산은 주민들이 나물 뜯고 약초도 캐는 중요한 생활터전이 되고 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쌀 이외에 콩·옥수수·조 등을 많이 심는다. 마을에는 논도 많으나 밭이 좀 더 많다. 현재 양구군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4년 바랑골농요로 전국 민속경연예술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 바랑골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덕원, 김옥희가 참여하였다. 아라리는 밭 맬 때, 나물 뜯을 때 불렀다. |
가사 | 나 : 바랑골 까마구야 고만두나 울어요
정드신님 병환이 나날이 깊어 간다 가 : 요년으 총각아 내 손목을 놓아라 물겉은 손목이 잘크러 진다 나 : 올르락 내리락 잔지침 소리 이빠진 남박에1) 돌 넘어간다 가 : 갈기적 갈기적 곁눈질을 마라 이빠진 남박에 돌 넘어간다 나 : 무지나 동산에2) 돌배나무 매디매디 꺾어도 향내만 난다 가 : 산천이 푸르죽죽 나가시던 님이 백설이 휘날려도 왜 아니 오시나 나 : 돌산령 샛바람이 휘몰아 치니 심곡사 풍경소리가 요란도 하다 가 : 바랑골 샛바람이 휘몰아 치니 황금겉이 익은 곡식 다 떨어진다 나 : 돌산령 달산령 선질꾼이 떴다 제작제이 애기갈보야 술 걸러 놔라3) 가 : 노랑두 저고리 기약사4) 도장을 찍고 말 한 마디만 잘하면 백년기약을 맺는다 나 : 대바우 용늪에5) 얼러지가6) 나거든 너하구 나하구 얼러지 캐러 가자 가 : 바랑골 뒷동산에 머루다래가 열거든 우리나 삼동세 머루 따러 가자 1)남박에→이남박에 : 아남박은 쌀 따위의 곡물을 씻거나 일 때 쓰는 바가지의 한 가지로 안쪽에 여러 줄의 골이 나 있다. 2)無主空山. 3)예전에 쌀이나 꿀 따위를 지고 고성에 가서 소금과 바꾸어 올 때의 이야기. 고성으로 가는 길에는 돌산령, 삼친령, 달산령의 세 큰 고개가 있었다. 선질꾼이란 이렇게 등짐을 지고 오가는 사람들을 말한다. 선질꾼들은 열명이나 열댓명이 함께 다녔으며 닷새면 고성에 다녀올 수 있었다고 한다. 제작제이는 용늪 넘어 돌산령 밑에 있는 마을이름이다. 4)기약사 : 기약하는 문서? 노랑저고리는 시집갈 때 입는 옷으로 이 부분은 여자의 약혼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대바우 용늪 : 마을, 뒤의 대암산 꼭대기에 있는 늪. 자연생태계보존지구로 지정돼 있다. 6)얼러지→얼레지. 이른 봄 제일 먼저 꽃을 피우는 산나물로 눈속에서 올라온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