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하나 먹어 둘에 중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숫자세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구군 양구읍 학조리 한새골의 하나 먹어 둘에 중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길정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길정배 |
지역개관 | 학조리는 한새골, 오르개, 사태메기, 솔경지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을 앞 길을 경계로 심포리와 나뉘어 진다. 들은 굽들, 마근대미, 마웃버덩, 새벌, 숫돌모루, 윗새면 등이 있고, 가래타니 고개, 덕고개 등의 고개와, 못구렁, 바른구렁, 삼선당, 승직골, 왕두골, 작은 벌갯골, 큰 벌갯골, 쟁골, 호통골 등의 크고 작은 골짜기가 있다. 마을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집에서 직접 손으로 빚어내는 한과도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 19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학조리 한새골에서 채집한 하나 먹어 둘에 중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길정배가 참여하였다. 두 사람 이상이 서로 마주앉아 다리를 서로 엇갈려 끼우고 다리 숫자를 세기 시작해 노래가 끝났을 때 해당되는 다리를 빼는 식으로 놀이를 계속하다가, 마지막에 다리 하나가 남으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되는 놀이를 하면서 하는 노래이다. 지역에 따라 노랫말 유형이 다르고 가창자에 따라서도 조금씩 달라진다.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가 가장 많고 한다리 두다리 또는 한거리 두거리, 한알개 두알개 또는 한알대 두알대, 그 밖에 한네 만네, 꽁꽁 꽁서방,앵기 땡기 등도 있다. |
가사 | 하나 먹어 둘에 중
삼사 네놈 똥깨 망깨 잣나무 등거지1) 아들 놈! 하나 먹어 둘에 중 삼사 네놈 똥깨 망깨 잣나무 등거지 아들 놈! (웃음) 1)등거지 : 땔감용으로 쓰이는 굵은 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