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삶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강현면 상복리 상복골의 논삶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광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광복 |
지역개관 | 상복골은 설악산 화채봉 자락에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 가운데로 계곡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 마을이다. 자연마을은 개울말, 둔덕말, 양지말, 장재터, 핏골 등이 있고, 복골은 상복리, 중복리, 하복리에 걸쳐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예전에는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고, 지금도 전체가구의 반 정도가 김해 김씨이며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현재 65가구가 논농사 중심으로 농사를 짓고 있으며 면골, 한당골, 풀성골 등에 논이 있는데 주로 다락논이 많다. 밭에는 감자,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순에 날을 받아 지내고 있다. 양양군의 다른 지역에 비해 전통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어 상복골 농요 등 여러가지 고유의 민속으로 민속예술 경연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여러 번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상복리 상복골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광복이 참여하였다. 써레질을 하면서(논을 삶으면서) 소를 모는소리이다. “쇠나 사람이나 타령하면 힘든 것도 쉽게 돌아가는 거니까.” 소리를 한다고 한다. 논을 삶을 때는 두마리(한스레)로 써레질을 하며, 논을 고를 때는 한 마리(쪽스레)로 번지를 친다. 논은 천평에 성군(논삶는 사람)이 한 명, 이천평이면 두 명이 삶는다. 그리고 논 1,000평에 모를 심을 경우 성군 한 명, 쇠스랑 한 명, 모춤을 지고 나르는 사람 한 명, 비료 치는 사람 한 명, 모심는 사람 열 명 정도가 동원된다. |
가사 | 이러 이러!
어디야 이이 이 큰 암소야 어정거리지 말구야 이이 제곬으루만1) 찾어 들어라 이러 이러 에이 어둬 어디야 이 오르내리지 말구야 어디 얼릉얼릉 가자 이러 이러이이 화채봉에2) 해는야 올라섰는데 한눈 팔지 말고 가자 이러 이러이이 어둬 어디야 이이 점심참이야 늦어가니 우리도 얼릉하고 말세 이러 이러 이이이 어둬 쇠머리에 모춤 올라 앉겠구나3) 얼릉 얼릉 잽싸게 가자 이러 이러 이 어둬 와와!! 1)제곬으루만 : 보통은 밭이나 논을 가는 쟁기질을 할 때 곬을 찾고, 논을 삶는 써레질을 할 때는 말을 찾는다. 2)화채봉 : 설악산에 속한 동북쪽 산봉우리로 상복리에서 보면 서쪽 해가 지는 쪽이다. 3)써레질이 더뎌지면 모꾼들에게 쫒기게 되는 것을 말한다. |